-
-
현기증
프랑크 틸리에 지음, 박민정 옮김 / 은행나무 / 2014년 7월
평점 :
깨어나 보니 사슬에 묶인 채 자신의 개 포카라와 함께 어딘가에 갇힌 걸 깨달은 조나탕은
자신과 함께 철가면을 쓴 미셸과 사슬에 묶인 또 다른 남자 파리드가 있음을 알게 된다.
도대체 자신들이 왜 이렇게 갇혀 있는지 영문을 알 수 없는 세 남자는 자신들을 가둔 남자가 남긴
'누가 도둑일 것인가?', '누가 거짓말쟁이일 것인가', '누가 살인자일 것인가'라는
의미심장한 말에 서로를 의심하면서도 생존을 위해 일단 협력을 하기로 하지만
계속되는 의견충돌로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상황이 지속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생존여건은 열악해지지만 조금씩 그들 사이에 숨겨진 진실이 들어나는데...
이 책의 처음 상황설정을 보면 딱 떠오르는 영화가 있을 것이다.
참신한 설정과 기막힌 반전으로 신선한 충격을 줬던 '쏘우'가 바로 연상됐는데
누군지 모르지만 자신들을 감금시킨 정체불명의 사람으로 인해 이유도 모른 채
죽음의 공포를 맛봐야 했던 세 남자의 상황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었다.
서로를 불신하는 가운데 살아남기 위해선 협력해야 하는 묘한 상황 속에서
세 남자는 티격태격하면서도 생존을 위한 적응을 하기 시작한다.
조금씩 자기 얘기들을 하기 시작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를 하기 시작하지만
시간이 가면서 커지는 두려움과 절망감을 극복하긴 어렵다.
먹을 것도 제대로 없는 상황에서 조나탕의 개 포카라를 둘러싼 견해 대립 등으로
점점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체불명의 남자의 시체가 발견되고
포카라가 변신(?)을 하자 위태롭던 그들의 관계도 파국을 맞게 된다.
그리고 아랍 청년 파리드가 하나씩 진실을 말하자
조나탕은 산에서 추락사한 절친 막스를 범인으로 떠올리는데...
도대체 무슨 원한이 있어 세 남자에게 이런 잔혹한 짓을 했을까 하는 의문과 함께
누가 범인일까 하는 궁금증. 그리고 이들 세 남자의 운명은 어떻게 될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계속 긴장감을 늦출 수가 없었는데 드러난 진실에는 정말 현기증이 느껴질 정도였다.
반전을 다룬 영화나 소설들을 많이 봐 왔기 때문에 새삼스럽지는 않았지만
좀 허탈한 느낌도 없지 않았다. 도대체 진실이 뭔지 애매하게 마무리를 해놔서 뭔가 후련한 느낌이
들진 않았는데 명쾌한 결말이었다면 좀 더 좋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물론 제목과는 더 맞는 결말과 반전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끌어왔던 스릴과 서스펜스, 미스터리가 좀 어이없는 결말을 맞는 느낌이 들었다.
폐쇄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흥미로웠던 미스터리가 급작스런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면서
흐지부지한 결말로 좀 아쉬운 느낌을 주었던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