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론자를 위한 종교
알랭 드 보통 지음, 박중서 옮김 / 청미래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만큼 민감한 주제도 없을 것인데 인류의 역사를 보면 종교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경우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경우가 많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물론 종교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대부분이 종교에 편향된 자들이 저지르는 만행 때문이라 할 것인데

그러다 보니 종교를 유독 강조하거나 내세우는 사람들을 보면 거부감부터 생기는 편이다.

종교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굳이 유신론자와 무신론자로 구분한다면 무신론자에 가깝긴 하다.

정확하게 말하면 신이 존재하든 안 하든 인간이 신이란 존재에 좌우될 필요는 없다는 게 내 생각인데,

스스로 무신론자라고 얘기하는 알랭 드 보통은 이 책에서 종교가 무신론자에게도 도움이 되는 측면을 설명한다.

 

종교가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는 사실은 나도 부인하진 않는다.

특히 요즘과 같이 물질적으로는 풍요롭지만 정신적으로는 피폐한 상황에

종교가 정신적인 위안과 의지가 되기도 한다.

예전에는 너무 종교 중심의 공동체여서 종교가 사람들을 억압하는 수단이 되었지만

이젠 지나치지만 않다면 종교가 공동체의식도 부여하고

법률로서 규율하지 못하는 도덕과 예절을 준수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종교가 이런 역할을 하는 것 자체에 대해 자유의지론자들은 탐탁지 않게 생각하지만

자발적으로 스스로를 통제하면서 살기에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욕망의 수위가 너무 높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종교는 모든 것을 실용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하는 요즘의 세태를 제어해주는 역할도 한다.

교육에 있어서도 당장 써먹을 수 있는 그런 학문들이 선호되고 있지만

존재의 의미나 삶의 목적 등 보다 근본적인 질문들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철학 등의 인문학의 필요성을 종교가 부여하곤 한다.

 

이 책에선 이 밖에도 미술, 건축, 제도 등 여러 분야에 있어 종교의 긍정적인 측면을 얘기하는데

공감되는 부분도 있었고 이렇게 볼 수도 있구나 하는 측면도 있었다.

아무래도 서양 사람이라 기독교가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데 불교 등

다른 종교도 거론하고 있어 역시 알랭 드 보통의 해박한 지식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종교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 그런 세상이었는데 요즘은 오히려 조롱의 대상이 된 느낌이 든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종교는 긍정적인 이미지보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편인데

이는 종교 본연의 순수성을 상실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알랭 드 보통이 이 책에서 얘기한 것처럼 무신론자이더라도 종교의 긍정적인 기능을 무시할 수 없는데

우리나라에선 유독 모범이 되기보다는 부적절한 면모만 보이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요즘과 같이 상처받은 영혼들이 많은 세상에 분명 종교가 적절한 치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에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독선과 자기 욕심 채우기에만 혈안이 되어 있는

종교계의 처절한 자기반성과 개혁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그래야 기존의 신도들은 물론 무신론자들도 종교의 긍정적인 역할에 공감하고

인정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