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읽는 신라왕조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5
박영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년이나 지속된 왕국이자 삼국통일을 이뤄낸 신라는 그 유구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삼국통일 당시의 상황이나 고려와 후백제에 끼여 근근히 버텨가던 시절의 얘기 정도만

우리에게 익숙한 편이다. 여전히 신라의 천년 수도 경주가 단골 수학여행지로 선택을 받기는 하지만

신라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이나 관심은 대륙을 호령했던 고구려보다도 못한 수준이라 할

것이다. 그래서 간략하게나마 신라의 역사를 정리한 책을 읽고 싶었는데

이전에 한 권으로 읽는 왕조실록 시리즈 '조선왕조실록'

'고려왕조실록'을 본 관계로 이 책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이 책에선 삼국시대에 관한 사료 중 정사라 할 수 있는 '삼국사기'와 야사라 할 수 있는 '삼국유사'

외에 '화랑세기'와 '일본서기'를 주요 사료로 삼고 있다.

사실 고대사 부분에선 참고할 자료 자체가 부족하고 있는 자료도 서로 모순되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많아 뭐가 진실인지는 사실 알기 어렵다.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왕들의 가계도조차 명확하지 않아

과연 얼마나 믿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들기는 하지는

저자는 나름의 논리로 불명확하거나 모순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다.

저자가 정리한 신라의 역사를 보면 오늘날의 기준으로 소위 막장 드라마를 방불케했다.

고려시대에도 그랬지만 그 이전 시대에는 혈통의 순수성을 보존하기 위해

근친 간의 결혼이 당연시되었고 그러다 보니 오늘날의 기준에서 보면

완전 족보가 엉망인 콩가루집안이 대부분이었다.

왕위 쟁탈전도 극심해 근친끼리 죽고 죽이는 사태가 빈번히 일어났는데

신라후기에는 서로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반란이 끊이질 않았다.

결국 삼국통일의 영광도 잠시 말기에는 겨우 경주 주변에만 권력을 유지하다가

견훤에게 경애왕이 살해당하는 수모를 당하던 끝에

경순왕이 왕건에게 나라를 바침으로써 천년왕국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신라 역사의 대략의 큰 줄기는 나름 역사에 관심이 있는 관계로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도 많았다. 혁거세를 비롯한 많은 왕들이

정변에 의해 왕위를 빼앗겼다는 사실이나 남자 왕손이 없는 경우 사위들이 왕위를 계승한 경우가

많이 존재했고, 여왕은 세 명이나 남편을 얻을 수 있었던 점을 비롯해

흔히 28대 진덕여왕까지 성골이고 태종무열왕때부터는 성골이 없어 진골이 왕이 되었다고

알고 있던 사실이(아마 삼국사기를 그대로 받아들인 국사교과서의 탓인 듯)

실은 성골과 진골의 구분 자체가 모호함을 이제야 알게 됐다.

그밖에 드라마로 더욱 유명해진 선덕여왕의 경우 그동안 총명한 여왕으로 알려졌는

이 책에선 황룡사 대탑 건립을 무리하게 진행하는 등 그다지 후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현재 중국은 고조선, 고구려 등의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로 만들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데

우리는 수수방관만 하면서 고대사를 소홀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다.

말로는 신라가 아닌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무 소득없는 가정법만 쓰곤

하는데 사실 그 당시 삼국은 요즘처럼 한 민족이라는 의식 자체가 없었다.

결국 결과론으로 과거사를 비평하는 수준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하거나 관심을 조성하지도

못하는 현실인데 이 책을 보니 정말 고대사는 거의 무방비 상태가 아닌가 싶었다.

전문 역사학자도 아닌 저자가 이런 책을 내놓고 있는 상황 속에서

우리 역사학계는 도대체 뭘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역사란 게 결국 얼마 안 되는 사료나 유물 등을 바탕으로 과거를 재발견하는 작업이라 할 것인데

일반 대중입장에선 우리 역사학계가 좀 더 분발을 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즈라더 2012-06-17 21: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박영규의 책은 역사 교양 서적이 아니라 판타지 소설에 가까우니..
역사를 알고 싶으시다면 되도록 멀리 하심이..^^;;

sunny 2012-06-17 23:19   좋아요 0 | URL
물론 역사전문가가 아니라 그런 측면이 있죠. 하지만 어차피 역사라는 게 사료를 해석하기 나름이니까요. 얼마나 합리적인 해석을 하느냐의 문제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