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서와 조선의 눈물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며칠 전에 '김종서는 누가 죽였나'라는 소설을 읽다 보니 김종서라는 인물에 대해

막연하게 알고 있었던 사실 외에 새로운 사실들을 좀 알게 되었는데

이 책은 조선 전기에 조선의 운명을 좌우하는 분수령이 되었던 사건인 계유정난의

중심인물인 김종서가 남긴 업적과 계유정난의 전후에 있었던 사건들 및

계유정난 이후 무너진 조선의 질서와 가치를 다루고 있다.

 

문신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무신이라고 잘못 인식될 정도로 북방개척의 혁혁한 공을 세운

김종서는 오늘날 한반도의 국경을 확정짓는데 일등공신이라 할 수 있었다.

남들이 꺼리는 격오지라 할 수 있는 함길도와 평안도 근무를 밥 먹듯이 했던 그는

어머니와 아내의 임종도 제대로 지키지 못할 정도로 변방에 나가 있는 시간이 많았다.

오직 김종서만이 해낼 수 있다는 세종의 절대 믿음에 근거한 일이지만

김종서가 아니었다면 사실 북방개척의 소임을 해낼 인물이 없었을 것 같다.

보통 어떻게 하면 빨리 서울로 돌아갈까 궁리만 하고 변방에 있는 동안에도 각종 비리와 부정만

저지르는 관리가 수두룩했던 사실을 감안하면 그의 업적이 얼마나 위대했던 가를 절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의 강직한 성격은 여러 사람들을 적으로 만들었다. 종친의 수장인 양녕대군과의 악연을

비롯해 그가 추천했던 박호문은 그에게 앙심을 품고 허위사실로 모함하기까지 한다.

그럼에도 세종의 든든한 비호를 받았던(물론 세종도 인간인지라 흔들릴 때도 있었다) 김종서는

세종의 사망과 뒤를 이은 문종의 죽음으로 위기에 처한 조선의 왕실을 지킬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다.

병약한 세자에 비해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등 장성한 아들을 두어 세손의 안위가 걱정이었던

세종의 근심은 그의 사후에 곧바로 현실화된다. 세종의 닦아놓은 왕도정치의 길을 이어

성군의 될 수 있었던 문종은 의문의 죽음을 당한다. 비록 평소에도 병약했지만 전혀 납득할 수 없는

어의의 처방과 그의 배경에 있던 수양대군 세력을 생각하면 독살을 의심하기 충분했다.

그렇게 2년만에 문종이 승하하고 12살의 어린 나이로 단종이 즉위하자

왕권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한다. 호시탐탐 왕위를 노리는 수양대군으로부터 단종을 지킬 세력의

중심은 일흔이 넘은 김종서였다. 하지만 종친인 수양대군을 직접 공격할 수 없었던 김종서는

소극적인 방어적 자세만 취하다가 결국 계유정난의 첫번째 희생자가 되고 만다.

그의 죽음으로 수양대군은 쉽게 정권을 장악하고 결국 단종을 내쫓고 보위에 오르는데

이로 인해 조선의 정상적인 왕위계승과 헌정질서는 완전히 무너지고 만다.

태종이 공신과 외척을 척결하여 세종에게 물려준 왕권이 반석에 오르기 직전에

권력에 눈이 먼 자들에게 침탈당하며 다시 공신을 비롯한 특권층이 활개치고 왕도가 아닌

패도의 정치가 횡행하는데 문종과 단종으로 이어지는 왕위계승이 순조롭게 이어졌다면

조선의 운명은 완전히 달라졌을지도 모른겠다.

 

결국 그 당시 현실의 승자는 수양대군 일당이었고 김종서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이 억울하게

죽고 그들의 가족들은 원수들의 노리개가 되는 등 갖은 굴욕을 당하게 된다.

하지만 정의와 진실은 영원히 숨길 수 없는 법. 역적으로 금기시되었던 김종서는

3백년 가까이 지난 영조시대에 완전히 신원이 된다. 그리고 오늘날 역사와 후세의 평가가

누구를 승자로 생각하는지는 너무도 명확하다고 할 것이다.

오로지 옳은 길만 갔고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꺾지 않았던 대호 김종서.

그런 그가 처참한 죽음을 맞게 된 것은 그야말로 조선의 비극이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세조 이후 조선왕실의 적자계승이 거의 드물게 되는 것은 아마 세조의 자업자득이 아닐까 싶다.

비록 무참한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었지만 죽음으로도 꺾을 수 없었던 김종서의 절개와 신념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과연 어떻게 사는 게 옳은 것인지를 다시 한 번 고민하게 만들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