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욕망, 그림으로 읽기 아트가이드 (Art Guide) 11
스테파노 추피 지음, 김희정 옮김 / 예경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예술작품들의 가장 중요하면서도 자주 사용된 소재가 바로 사랑과 욕망일 것이다.

인간의 삶에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사랑과 욕망인 것처럼 인간의 삶을 대변하는

예술의 소재로 사랑과 욕망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 할 것이다.

그동안 미술 관련한 책들을 종종 읽곤 했었는데 그 중 시대나 작가별로 구분해 작품들을 소개한

책이나 미술작품들을 도구로 심리치료나 창의력 개발을 시도한 책들이 주를 이뤘던 반면

이 책에선 좀 더 그림 속의 얘기에 집중하여 그림들을 소개하고 있다.

사랑과 욕망이란 소재를 이 책에선 크게 '제스처, 상징, 사물', '사랑의 장소', '애정과 열정', '에로스',

'세기의 남녀'라는 5장으로 나눠서 살펴본다. 아무래도 그리스 신화, 성경,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그림이 많이 등장하는데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나 그녀의 아들 큐피드를 다룬 그림이 많았다.

너무나 유명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을 비롯해 깜찍한(?) 큐피드의 모습을 담은 카라바조의 '정복자 큐피드' 등  사랑을 엮어주는 신들과 그들의 장난(?)에 의해 사랑에 빠져

서로 뜨거운 눈빛을 주고 받고, 키스, 포옹, 애무를 나누는 연인들의 모습을 담은 그림들을

보고 있노라니 나도 모르게 감정이입이 되는 듯 했다.ㅋ

 

'사랑의 장소'로는 침대와 같은 전형적인 공간은 물론 연회, 정원, 숲 등을 배경으로 작품을

소개하면서 심지어 매음굴도 별도로 한 테마로 잡았는데 유명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에

등장하는 여자들이 사실은 매춘부라는 점에 좀 놀랐다. '애정과 열정'에서는 아이들, 연인, 부부, 가족 등 애정의 대상은 물론 열정에서 비롯된 수치심, 질투, 배신을 다룬 작품도 소개되었다.

그 중 며칠 전에 읽은 마이클 코넬리의 '다크니스 모어 댄 나잇' 에서 중요한 단서로 쓰인

히에로니무스 보슈의 '지상 쾌락의 동산'을 감상할 수 있어 좋았는데 대작을 작은 책에 담다 보니

세밀한 부분들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던 점은 좀 아쉬웠다(특히 올빼미가 어디 있는지 찾느라

고생했다ㅎ).

 

4장 '에로스'에선 적나라한 성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많이 다루고 있는데 귀스타브 쿠르베의 작품

'세상의 근원'처럼 외설과 예술의 경계에 대한 논란을 불러 일으킨 작품도 있고, 게이, 레즈비언처럼

오랫동안 금기시되다가 최근에야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는 취향이나 소아성애처럼

여전히 터부시되는 경향을 다룬 작품들도 소개되었다.

마지막 장에선 그야말로 세기의 커플들을 다룬 작품들이 소개되는데 인류 최초의 커플이라는 아담과

이브를 소재로 한 작품부터 시작해 삼손과 들릴라, 아폴론과 다프네, 제우스와 다나에 등 성경과 신화 속 여러 커플들을 비롯해 셰익스피어의 작품들 속 커플들인 로미오와 줄리엣,

햄릿과 오필리어, 오셀로와 데스데모나로 마무리를 하였다.

 

이 책에 소개된 작품 중에는 다른 책에서 이미 여러 번 만난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이 책에서 처음 만난 작품들도 있는데 역시 한두 번 본 작품들보단 여러 번 본 작품들이 더 기억에 남고 작품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것 같다. 사랑과 욕망을 소재로 한 수많은 작품들을 보면서 역시 인간의 삶에서

사랑과 욕망만큼 관심의 대상이 되는 주제가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속에서 그려지는 내용들을 현실에서 재현할 수 없다면

그림으로라도 대리만족하는 것도(예행연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다.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