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CEO - 예술에서 배우는 8가지 경영 인사이트
김창대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미술에 관심을 가진 CEO들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단순히 부를 축적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술품을 구입하거나  

교양을 과시하기 위해 미술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닌

실제 경영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미술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라는데

얼핏 생각하면 미술과 경영이 무슨 관계가 있느냐고 할 수도 있지만

하루하루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가 필요한 경영자가

창의성이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예술을 오아시스로 여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은 바로 창조경영에 필요한 8가지 방법을 여러 미술작품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전에 읽었던
'그림 읽는 CEO'에서도 명화들을 통해 창조의 조건을 소개했었는데 이 책에선

그 방법을 좀 더 세분화하면서 CEO의 입장에서 필요한 창의성을 보다 부각시켰다.

먼저 보이지 않는 욕망을 읽어내는 통찰력을 얘기하면서 브랑쿠시의 '공간의 새'를 예로 든다.

새의 본질이 뭐냐고 물으면 단순히 '난다'라고 대답하기 쉽겠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

새가 비상하는 순간의 터질듯한 긴장감을 청동으로 표현해낸 브랑쿠시처럼 불필요한 부분을

모두 제거하고 본질을 꿰뚫어 보는 눈이 필요한데 실직할 경우 차를 재구입해주는 마케팅을 한

현대자동차나 마시는 비타민C를 생각해 낸 광동제약, 인간과 동물이 함께 교감을 나누는 동물원을

만든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사례가 소비자의 숨겨진 욕망을 잘 알아낸 경우라 할 수 있었다.



후기인상파에 속하는 세잔, 고흐, 고갱에 나름의 핵심역량을 가지고 있었다.

사물 자체의 본질적인 특성을 드러내는 데 치중했던 세잔,  

사물을 바라보는 화가 자신의 격정을 드러냈던 고흐, 고귀한 원시 관능의 색채를 표현했던 고갱은

각자의 필살기라 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가지고 있었는데 기업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자신만의 핵심역량을 갈고 닦아야 함을 잘 보여줬다.

모호함은 보통 사람들이 싫어하지만 경계를 파괴하고 신세계를 창조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기존의 선수선발기준을 백지화하고 오로지 선수 기량에 의한 선수 선발을 통해 4강 신화를 이룩한

히딩크 감독의 사례처럼 경영도 미로 속에서 스스로 답을 찾는 과정이라 할 수 있는데

엘리베이터에 거울을 설치하여 사람들의 지루함을 해소시켜 준 오티스나 임은경이란 신인 배우를

내세운 모호한 광고로 관심을 끌었던 SK텔레콤의 TTL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역발상을 통한 일상타파는 가장 대표적인 창조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얼마 전에 나탈리 포트만이 주연한 '블랙 스완'을 인상적으로 봤지만

보통 '백조의 호수'하면 당연히 발레리나가 등장할 거라 생각하는데 매슈 본의 '백조의 호수'는

우아한 발레리나가 아닌 근육질의 발레리노를 등장시키는 파격을 통해 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보편성은 어쩌면 창의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세자르 발다치니의 '엄지손가락'이나 레만 호수의 '포크'를 보면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것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아낼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었다.

기존의 것들을 결합한 융합은 1+1이 2가 아닌 그 이상의 효과를 내는 전형적인 창조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 기존 산업과 IT의 융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신발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달리는 속도와 소모한 칼로리를 알려주는 나이키와 아이팟이 만난  

운동화 '에어 줌 무아레', 점차 시장을 확대해가고 있는 전자책 단말기 킨들이나  

아이패드 등의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줬다.

진리는 단순하다는 말이 있듯이 검색 기능 하나만으로 단순함의 위력을 보여준 구글이나

입체 형상을 해체하고 2차원 평면으로 재구성하여 입체파라는 새로운 세계를 보여준 피카소까지

미술에서 발휘된 창조 정신이 경영에 반영된 여러 사례들을 만날 수 있었다.



이 책에선 창조경영의 8가지 방법을 예술작품과 실제 기업의 성공사례를 통해 잘 소개하고 있지만
이는 CEO만의 전유물은 아닐 것이다. 비록 CEO와는 전혀 거리가 먼 위치에 있고 그다지 창의적인  

일을 하는 건 아니지만 늘 정해진 대로만 일하고 생활하면 발전이 없이 매너리즘에 빠질 것 같아  

이런 책을 즐겨 보는데 미술도 경영도 잘 모르지만 신선한 자극을 받는 것만은 분명한 것 같다.

이 책은 왜 CEO들이 미술에 관심을 가지는지, 그리고 미술작품을 통해 무엇을 얻는지를 제대로

보여줬는데 보통 사람들이 미술을 감상하는 이유도 크게 다르진 않을 것 같다.

물론 감수성을 키워주는 측면도 중요하지만 미술을 통해 그동안 몰랐던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는 게 바로 미술의 치명적인 매력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팜므파탈과 같이 잘 모르는 미술에 계속 차이면서도 대쉬를 할 수밖에 없는 것 같다.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