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다락방 Special edition - 내일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이다
이지성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소위 자기계발서에 대해선 찬반양론이 있는 것 같다.

이런 종류의 책들 때문에 자신의 인생이 바뀌었다는 등의 찬사가 있는 반면

비슷비슷한 내용의 상투적인 얘기를 반복하는 별 도움이 안 되는 책이라는 의견이 그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런 종류의 책을 챙겨보는가 하면 이런 책들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사람도 많다.

나는 양쪽 의견 모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가끔씩 자극(?)이 필요로 할 때마다 자기계발서를 찾아 읽곤 한다.

 

이 책은 이미 베스트셀러가 된 '꿈꾸는 다락방'의 스페셜 에디션이다.

1편이 베스트셀러가 되었을 때 읽어볼까 생각을 했었는데

다른 책들에 밀려 기회를 놓쳤다가 이번에 우연히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저자가 말하는 주장은 너무나도 쉽다.

마치 물리 공식처럼 R=VD, 즉 생생하게 꿈꾸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꿈을 꾸는 것에 대해선 여느 자기계발서에서나 모두 주장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단지 저자는 좀 더 새련되게(?) 이런 공식으로 표현하였을 뿐이다.

그리고 생생하게 꿈꾸는 방법들인 글VD, 소리VD, 사진VD 등의 방법도

학창시절에 자신의 책상 앞에 붙어놓거나 해서 누구나 경험이 있는 방법들이라 할 수 있었다. 

결국 중요한 것은 그냥 꿈꾸는 게 아니라 생생하게 꿈꾸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인데

이 부분에서 꿈을 이루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것이 결정되는 것 같다.

 

이 책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의 사례를 소개하며 R=VD 공식을 어떻게 실천했는지를 잘 보여주었는데

솔직히 성공한 사람들의 사례만 모아 놓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긴 했다.

사실 뭐든지 똑같이 해도 성공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실패를 하는 사람도 있다.

성공과 실패를 가른 이유가 여러 가지이겠지만 이 책의 주장대로라면

생생하게 꿈을 꾸고 이를 실현하려고 노력했느냐의 여부에 따라

어떤 사람은 성공했고 어떤 사람은 실패했다고 할 수 있다.  

결과론적으로 그런 해석을 하는 것은 쉽고 원론적인 얘기를 하는 건 어렵지 않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도록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저자의 꿈꾸는 다락방 1편과 2편을 읽지 않아서 그 책들에 어떤 내용이 나와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 책들에 좀 더 구체적인 방법론 같은 게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 책만으로는 꿈의 중요성과 그 꿈을 정말 간절히 원해야 한다는 것은 충분히 공감할 수 있었지만

그 이상 꿈을 어떻게 실현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선 막연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럼에도 여러 사람들의 정말 꿈 같은 성공 얘기를 들으면 나도 할 수 있다는 막연한 희망이랄까

용기가 생기는 것은 이 책의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사실 꿈이란 걸 잊고 산 지가 오래라서 뭘 꿈꿔야 되는지도 모르는 상태가 되어버렸지만

꿈을 다시 꾸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 자체가 삶의 신선한 자극이 되지 않는가 싶다.

그런 자극제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했던 책이라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