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김주영 옮김 / 씨네21북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원죄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일을 하던 나미키 나오토시는

같은 모임의 세 명의 매력적인 여자 히토미, 마리에, 유키를 죽일 계획을 세운다.

그녀들이 알라우네가 되기 전에 그녀들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일념으로  

막연히 살인을 계획하던 그에게 애인처럼 지내던 아카네가 찾아와  

느닷없이 그를 죽이려 공격하자 얼떨결에 아카네를 죽이고 만 나미키는

세 명의 미소녀들을 죽일 계획을 바로 실행에 옮기기로 하는데...

 

범인이 주인공이 되어 진행하는 추리소설들이 종종 있다.

바로 얼마 전에 읽은 '내 안의 살인마'도 마찬가지였는데 이런 소설들은 범인을  

바로 드러냄으로써 범인이 누군지를 맞추는 본격 추리소설의 재미는 줄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방면의 재미를 독자에게 선사해야 하는데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사건 그 자체나 사건을 저지르고 이를 숨기거나 도망치는  

범인의 심리상태에 몰입하게 만들어 독자를 범인의 입장에 서게 만들어  

재미를 주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 책은 처음부터 연쇄살인을 계획하던 나미키가 갑작스런 아카네의 공격을 받고 난 후

계획했던 세 명의 여자들에 대한 살인을 저지르는 과정을 정말 리얼하게 그려내고 있다. 

마치 내가 나미키가 되어 살인을 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 처한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나미키가 느끼는 감정이나 순간순간의 갈등, 임기응변적인 살인 계획의 실행까지  

정말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그러면서도 단순히 연쇄살인마의 살인과정을 그려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범죄자와 그 가족들에 대한 사회의 냉혹한 태도에 대한 문제제기도 하고 있다.

나미키가 도와주던 세 명의 여자들은 모두 원죄 피해자,  

즉 무고하게 죄를 뒤집어쓴 사람들의 딸들이다.

인간이 운영하는 사법제도 하에서 무고한 사람이 나올 가능성이 없진 않겠지만

그런 누명을 쓰는 사람과 그 가족들이 당하는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요즘과 같이 인터넷상 미니홈피니 블로그 등이 발달해서 마음 먹으면 얼마든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상태에서 한 번 범죄자로 낙인 찍히면  

엄청난 사이버 테러와 실생활에서의 따가운 시선을 견뎌내야 한다.

헌법상의 무죄추정의 원칙은 현실에서는 유죄확신의 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나중에 설사 무죄임이 밝혀진다 해도 그동안 잃은 것들을 회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이런 점은 얼마 전에 본 영화 '아무도 지켜주지 않아'에서도 잘 보여 줬는데

범인으로 매스컴에 지목당하는 순간부터 범인의 가족들도  

범인과 똑같은 대우를 받으며 고통을 당하게 된다.

 

이 책에서 나오는 원죄 피해자 지원모임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음에도  

누명을 쓴 사람들과 그 가족들을 지원하는 단체로

그들은 히토미, 마리에, 유키가 험한 세상에서 홀로 설 수 있게 만들기 위해서

내 편과 내 편이 아닌 사람들을 철저하게 구분하게 만드는데 이것이 오히려 그녀들을

'알라우네'(무고하게 죄를 뒤집어 쓰고 교수형에 처해진 남자가 흘린 정액에서 피어난  

전설의 식물)로 만들어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이 되게 했다.

그런 사실을 눈치 채고 그녀들이 큰 일을 저지르기 전에 처치하려는

나미키는 어찌보면 정말 숭고한(?) 사명을 실행하는 인물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아무리 악마적인 본성을 가진 존재라 해도 그들이 범행을 저지르기 전에 응징한다는 것은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것 같다.

범죄예방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인간을 교육시키고  

환경을 개선하는 것까지가 한계이지 그럴 가능성이 있는 인간 자체를 없애는 것은  

범죄예방이 아닌 또 다른 범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나미키가 아무리 그녀들이 끔찍한 범죄를 저지를 살인마가 될 거라 확신을 하더라도

그가 저지른 범행을 용서받을 수는 없다.

오히려 그 자신이 알라우네가 되어 무자비한 살육을 저지른다고 할 수 있었다.

테러리스트 등의 확신범의 문제가 바로 자신들의 목적이  

자신들의 행동을 정당화시켜 준다고 착각하는데 있다.

 

'알라우네'의 전설을 모티브로 연쇄살인을 저지르는 범인의 생생한 범행과정을 체험하게  

만드는 이 작품은 시종일관 긴장과 스릴을 맛보게 해주지만 씁쓸한 여운을 남기는 작품이었다.

범행과정의 잔인함과 마치 악을 제거한다는 맹목적인 신념도 그렇지만

내 편과 적의 이분법으로 구분하게 만드는 세상의 냉혹함이 기분을 씁쓸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이 만큼 흡입력 있는 범죄소설을 쓴 이시모치 아사미라는 걸출한 작가를  

만나게 되었다는 점은 큰 성과라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