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 신개정판 생각나무 ART 7
손철주 지음 / 생각의나무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 다닐 때 미술을 배웠지만 그다지 재미있는 과목은 아니었다.

그림을 비롯해 여러 미술 장르들을 실습하지만 그다지 취미가 없었고

간혹 행해지는 미술 이론수업은 정말 지루하기 짝이 없었다.

미술에 대해 재능이나 관심이 부족했던 탓도 있지만  

미술의 재미를 맛볼 수 있게 해주지 못한 교육방법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미술에 얽힌 뒷담화(?)를 엮은 이 책은

그림과 작가에 얽힌 여러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 미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그림에 대해서 잘 모르는 편인데도 이 책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읽으며

미술이 어렵고 지루하지 않은 않은 예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문학이나 음악은 상당히 좋아하는 편이지만 미술과는 예전부터 별로 친하지 못했다.  

아무래도 미술은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안목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교육을 제대로 받지도 못했고 스스로 자습(?)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작품을 봐도 별 감흥이 없고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된 이야기들은 작가와 작품에 관한 흥미 위주의 이야기로 이루어져서  

나처럼 미술에 문외한이면서 별 관심이 없던 사람에게도 작품들을 찾아보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물론 이 책이 미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책은 아니다.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미술 입문서로서는 솔직히 미흡한 점이 없지 않다.  

뒷부분에 가나다순으로 이 책에 등장하는 작가들에 대해 소개가 실려 있지만  

사실 깊이 있는 이해를 하기엔 턱 없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었다.  

미술 칼럼니스트가 신문에 연재했던 칼럼들을 모아 놓은 것이기에  

큰 기대를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전혀 미술을 모르는 사람에게 미술을 조금(?) 아는 사람이 쉽게 미술을 소개해주는  

책으로 생각하면 충분히 의미가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이는 대표적인 예술 장르가 미술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장르는 전혀 지식이 없어도 나름 어느 정도의 감상과 이해가 가능하지만 
미술의 경우 딱 봐서  

뭘 그렸는지, 조각했는지 아는 경우가 아닌 한 전혀 엉뚱한 방향에서 헤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전 지식을 쌓기 위해선 역시 어느 정도 전문적인 입문서를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술 입문서는 문외한이 보기엔 재미 없고 금방 싫증나게 만든다.  

그와 비교해 볼 때 이 책은 미술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미술을 좋아하게 만들 미끼(?)를 던지는 책이라 할 수 있었다.  

이 책에 소개된 작가와 작품만으로도 끌리는 작가와 작품이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그림을 알고 싶게 만들기에는 충분한 역할을 한 책이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