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해줘
기욤 뮈소 지음, 윤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브로드웨이 무대에 서겠다는 목표로 뉴욕으로 왔던 프랑스 여자 줄리에트는 제대로 된 기회를 잡지도  

못하고 서빙이나 하면서 겨우 살아가는 생활을 접고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

한편 아내를 잃고 아내를 그리워하며 힘든 나날을 보내던 의사 샘은

퇴근 후 브로드웨이를 향해 차를 몰고 가던 중 마지막으로 브로드웨이에서 연극을 보러 가던  

줄리에트를 차로 칠 뻔 하는데...

 

프랑스 작가 기욤 뮈소의 베스트셀러인 이 책은 헐리웃 영화를 보는 듯한 판타지 로맨스를 담고 있다.

샘과 줄리에트는 교통사고가 날 뻔한 그런 극적인 인연을 계기로 둘 다 한 눈에 서로에게 끌리게 된다.  

영화 속에서나 나올 운명적인 사랑이 바로 샘과 줄리에트의 사랑이 아닐까 싶었다.  

그렇게 한 순간에 불꽃처럼 뜨겁게 타올랐던 그들의 사랑은 서로에 대한 거짓말과 확신 부족으로 인해  

줄리에트가 프랑스로 출국하는 비행기에 오르면서 끝나는 것 같았지만  

여기서부터 마치 판타지와 같은 운명적인 사랑의 역사가 다시 시작된다. 

 

사실 샘과 줄리에트의 사랑 이야기는 판타지 성격이 짙었다.

비행기 사고나 줄리에트를 데리러 온 그레이스 등 사건 전개가 비현실적이라  

현실적인 사랑 얘기를 원하는 사람에겐 황당한 얘기에 불과할 것이다.  

하지만 소설이라는 것이 원래 사실적인 내용만 담고있다면 우리가 사는 현실과 다를 바가 없어서  

꼭 소설을 읽을 필요가 없을 것이다. 차라리 수필이나 수기를 읽는 게 나을 것이다.

오히려 비현실적인 설정들이 샘과 줄리에트의 사랑을 더욱 각별하고 애절하게 만드는 장치들이  

아닌가 싶었다.

요즘같이 일회성 사랑(?)이 넘치는 세상에서 운명이라는 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것을 믿고픈  

사람들의 맘을 충족시키면서 샘과 줄리에트가 그들을 갈라놓을 뻔한 아슬아슬한 위기들을 극복하고  

사랑의 결실을 맺는 스토리는 많은 현대인들이 갈망하는 사랑의 판타지가 아닌가 싶다.  

그런 점에서 판타지와 액션, 미스터리까지 적절히 배합된

이 소설은 요즘 세대의 세련된 감각을 잘 만족시키는 작품이었다.

 

특히 돋보이는 점은 역시 영상세대에게 어필할 수 있는 영상미가 넘치는 문장과 표현들이다.  

마치 영화 시나리오를 읽는 듯 책을 읽어가면서 바로 영화 속 장면이 연상되어  

영화로 만들기 딱 좋은 소설이라 할 수 있었다.  

샘과 줄리에트의 첫 만남이나 마지막 절박한 순간 등은 분 단위로 묘사하고 있어서 더욱 실감이 났다. 

아직까지 영화로 제작되었다는 얘기는 못 들었는데 이런 작품을 영화로 안 만든다면  

도대체 어떤 소설을 영화로 만든다는 건지 모를 정도였다.

빨리 영화로도 만나보고 싶은 작품이었다.

기욤 뮈소의 책은 이 책이 처음이었는데 단순한 로맨스 소설이 아닌 영화를 보는 듯한 
빠른 전개와  

생동감 넘치는 묘사 등으로 여러 장르가 혼합되어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기욤 뮈소의 다른 베스트셀러도 빨리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