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가 자신의 역할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가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자식들과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평가된다. 물론 중요한 과제이지만 그것은 명백하고 공감할 수 있는 영역이다. 반면 아버지의 사정은 전혀 다르다. 아버지로서의 성공은 그가 자식들과 얼마나 긴밀하게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달려 있기도 하지만 여기에 덧붙여 사회와 얼마나 상호작용을 잘 하고 있는가에도 달려 있다. 중요한 것은 이 두 영역에 포함된 법칙들이 전혀 동일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17쪽
아버지는 하나의 문화적인 구성물이고 고안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버지는 어머니와 다르게 생존을 위한 일차적인 전제들이었던 동물적인 삶을 인간적인 삶의 세계로 데려온 사람이다.-31쪽
암컷들은 새끼를 낳고 키운다는 점에서 개체로서의 기능을 인정받으며, 그들의 모성이 단순한 본능 이상이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인간적인 심리학의 근원을 내포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그에 반해 수컷들은 집단 안에서의 역할과 관련해서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기껏해야 다음 세대를 위한 유전자 저장고 정도로 여겨진다.-58쪽
여자의 진화과정과 남자의 진화과정의 차이는 자연의 연속성이냐 단절이냐의 차이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105쪽
아버지는 역사가 목적지로 삼고 항해해 나가야 할 정박지와 같다.-256쪽
이들이 열어놓은 것들 중 가장 획기적인 것은 아버지와 아들을 종속관계가 아니라 평등의 관계로 해석한 것이다.-279쪽
신의 죽음과 왕의 처형이라는 이 두 가지의 사건은 아버지의 죽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메타포였다.-305쪽
부성이라는 것은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젖을 물리는 것과 같은 본능에 기반한 역할이 아니다. 그래서 남자들의 부성적인 행동은 사회적으로 확립된 규율 같은 것이고 세대를 통해 확립되어야 하는 것이다.-377쪽
부성의 패러독스는 아버지로서 살아야 하면서 동시에 전사로서 살아야 하는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부성의 성격에 기인한다.-415쪽
오늘날 아버지들에게 기대되는 가장 큰 역할은 자식들의 개성화로, 개성화란 자신만의 고유성을 획득함으로써 충만한 차별성을 계발하는 것이다.-432-433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