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드라마 작가로서 마니아 팬을 확보하고 있는 노희경의 에세이집

제목부터 날 뜨끔하게(?) 만들기 충분한 책이었는데

(난 단순히 유죄로는 부족하고 한 무기징역은 선고받아야 할 듯...ㅋ)

사실 그녀가 쓴 드라마를 제대로 본 적이 없다.

'거짓말', 내가 사는 이유',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등 그녀의 쓴 드라마는  

얼핏 몇 번 본 적은 있는 것 같은데 그다지 인상에 남아 있진 않다.  

그녀의 드라마가 흔히 얘기하는 막장형의 대박 드라마도 아니고,

엄청난 스케일을 자랑하는 드라마도, 청춘 스타들이 등장하는 트렌디 드라마도 아니어서  

그다지 시청률도 높지 않고 화제가 되지도 않지만

그녀의 드라마를 좋아하는 마니아들을 만들어낼 정도의 흡입력은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책은 '사랑'이라는 주제로 그녀의 가족과 사랑, 일에 대한 얘기가 실려 있다.  

'버려주어 고맙다'는 아픈 고백을 들려주는 첫 사랑 얘기,

가난한 집 칠형제 중 여섯 째로 태어난 환영받지 못한 자신의 출생 얘기,  

늘 말썽만 부리다 자신이 드라마 작가로 데뷔하는 모습도 보지 못하고 돌아가신 어머니 얘기 등  

자신의 얘기를 진솔하게 하였다.

자기의 치부를 드러내는 것 같이 적나라한 자기 얘기를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지만  

그녀는 담담하게 자신이 아픈 기억들을 쏟아내며 아픔의 기억은 많을수록 좋다고 말한다.  

인생의 희노애락을 그려내는 드라마 작가로서 아픔의 기억은 좋은 글을 쓰는데 자양분이 될 것이고,

일반 사람에게도 아픔은 분명 보다 성장할 계기가 된다.

아픈 만큼 성숙한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드라마 작가로 데뷔한 후의 얘기는 표민수 피디와의 특별한 인연,

그리고 연기자 중에선 윤여정과 나문희와의 각별한 애정을 보여준다.

일을 하면서 서로에게 힘이 되어 주면서 때로는 비판도, 힘들 때는 애정어린 격려도 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정말 행복한 일일 것이다.

그런 점에선 노희경 작가는 그 누구에 못지 않게 행복한 사람 같았다.

 

'봄날은 간다'와 '화양연화', '바그다드 카페'에 관한 감상평도 실려 있었는데  

특히 내가 좋아하는 영화 '봄날은 간다'에 대한 작가의 감상이 인상적이었다.  

작가는 은수(이영애)를 이해하는 입장인데 이미 사랑의 산전수전(?)을 다 겪은 성숙한 여자에게  

'사랑은 어떻게 변하니?'라고 하는 철부지 순수한 소년 스타일의 상우(유지태)는  

역시 버거운 존재였다고 말한다. 사랑이 현실인 여자에게 아직 사랑이 전부라 생각하는 순진한 남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그녀의 해석은 나름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드라마 '그들이 사는 세상'의 주인공 지오와 준영의 얘기도 중간중간에 실려 있는데  

드라마를 봤더라면 좀 더 와닿았을 것 같다.

 

자극적인 책 제목 만큼 책이 예쁘다는 점도 돋보인다.

파스텔톤의 예쁜 그림과 중간중간에 노희경 작가가 직접 쓴 듯한 속지까지  

딱 소녀 취향의 디자인과 편집이라 할 수 있었다.

 

사랑은 누구나 갈망하는 것이지만 생각만큼 쉽지는 않다.

그럼에도 인간이라는 존재가, 그리고 우리의 삶이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사랑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 같다.

노희경 작가의 사랑에 관한 에세이들을 모은 이 책은 좀 가벼우면서 예쁘게 포장한 듯한 느낌을 주지만  

작가의 삶과 생각을 읽으며 사랑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사랑에 있어선 늘 죄인(?)이라 할 수 있는 나도 이제 당당하게 무죄를 주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봐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