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즈 프레임 - [할인행사]
존 심슨 감독, 레이첼 스터링 외 출연 / 엔터원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한 가족을 무참히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난 숀 베일은 자신에게  

또 누명을 씌울까봐 자신의 몸에 항상 카메라를 부착하여 촬영하지만 또다시 사건에 휘말리는데...

 

강호순 사건 발생으로 CCTV 설치를 확대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데  

이 영화를 보면 아무리 자기 몸에 카메라를 부착해서 24시간 촬영해도  

누명을 씌우려고 마음 먹으면 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을 것이다.  

즉 조작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CCTV도 완전히 믿을 수는 없다는 사실.  

CCTV가 마치 전가의 보도처럼 남용될 우려가 있는 게 사실이다.  

아사카 고타로의 '골든 슬럼버'에서도 자신과 똑같이 성형수술한 대역을 내세워 누명을 씌우는데  

결국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지 못한다. '프리즌 브레이크'에서도 링컨이 살인 누명을 쓰고  

폭스 리버에 수감되는 결정적인 증거로 CCTV 촬영 화면이 쓰인다.  

이 영화에서도 한 번 누명을 썼던 숀 베일이 다시는 누명을 쓰지 않으려고 자신의 몸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24시간 촬영하지만 촬영한 테이프가 없어지는 등  또다시 누명을 쓸 위기에 처한다.  

그를 강박증 환자로 만든 인간과 경찰들의 행태가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물론 영화나 소설 속에서나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런 일이 생기지 말라는 법도 없다.  

피해망상일지도 모르지만 점차 기술이 발달하고 개인의 사적 영역까지  

모든 게 기록되고 감시받는 상황이 되면 국가권력이나 자신에게 나쁜 감정을 가진 세력이  

얼마든지 이런 짓을 저지를지도 모를 일이다.  

자신을 지키기 위한 CCTV 등이 오히려 자신을 옭아맬 흉기가 될 지도 모른다는  

무서운 가능성을 새삼 확인시켜 준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