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들 - 비즈니스 창의성을 깨우는 부와 성공의 수수께끼
앤드류 라제기 지음, 신정길.이선혜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창의성 내지 혁신이란 주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편인데

인간의 삶을 끊임없이 발전을 해오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창의성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이런 창의성은 대부분 천재적인 인간만이 지닐 수 있고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은  

아무리 노력해도 가질 수 없는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당신과 같은 존재로 생각되곤 했다.  

하지만 이 책은 이런 보통 사람들의 창의성에 대한 오해를 지적하면서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다섯 가지 실마리를 가르쳐 준다.

 

가장 먼저 우리가 창의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인식은 창의성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만 인식하는 것이다.  

저자는 창의성을 크게 예술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 고안적 창의성으로 구분한다.  

비즈니스 창의성라고도 할 수 있는 고안적 창의성은 구체적인 문제해결과 직접 관련되어 있으며,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독창성만 있으면 되고,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포드가 도입한 자동차 생산방식은 이미 기존에 있던 교환가능 부품 이론과 연속흐름생산을 결합한  

것으로 예술적이나 과학적인 창의성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고안적 창의성은 인정할 수 있는 것이었다.  

한 마디로 비즈니스 창의성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라기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는 아이디어들을  

통합하고 재조립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영만 교수의 '상상하여 창조하라'는 책에서 가장 중요한 상상력의 방법이 이것저것 엮기라고

한 것과 일맥상통하는 바이다.

 

이런 창의성은 신이 영감을 불어넣어주거나 우연하게 생긴다기보다 나름의 논리적인 과정을 거쳐 생긴다.  

저자는 비즈니스 창의성을 일깨우는 방법으로 꿈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리의 뇌는 우리가 자는 동안에도 끊임없이 활동을 하는데 기존에 우리가 습득한 정보들을  

재편성하거나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자기 전에 특정 문제의 해결방법에 대한 고민을 수첩에 적어놓고 잠에서 깼을 때

떠오른 아이디어들을 적어두면 분명 생각지도 못했던 해결책들이 나타나곤 한다.

그리고 기존에 지배적이던 감정상태나 상황을 바꾸는 것도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는데 도움이 된다.  

낙관적인 감정을 비관적으로 바꾸거나 혹은 그 반대로 하는 것도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게 하고,  

회의를 하는 시간을 낮에서 저녁으로 바꾸는 것도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동안 놓쳤던 부분들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무엇보다 비즈니스 창의성을 일깨우는 5가지 열쇠로 이 책은 호기심, 제약, 연관성, 관습, 코드를 들고 있다.

흔히 필요가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지만 필요를 앞지르는 것이 바로 호기심이다.  

인간의 무한한 호기심이 인류 문명 발전의 원동력이 된 것은 새삼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한된 시간과 비용 등은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열쇠다.  

이스라엘이 돌에서 물을 짜내는 기술을 개발한 것은 그들이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 살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것들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는 것만큼 창의성에 중요한 것도 없을 것이다.  

겉으로 보면 전혀 무관할 것 같은 것들 사이에서 연관성을 발견하는 것은 곧 창의성으로 이어진다.  

아르키메데스가 욕조의 물이 넘치는 것을 보고 왕관이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을  

생각해낸 것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익숙해 있는 관습에서 벗어나는 것은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방법이다.  

발상의 전환이라 할 수 있는 역으로 생각하기를 통해 창의적인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창의적인 코드는 앞에 나온 호기심, 제약, 연관성, 관습을 나름의 논리로  

체계화한 자신만의 생각의 틀로 이런 창의적인 코드를 갖추어 놓는다면  

그 어떤 문제에도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우리가 그동안 잘못 인식해왔던 창의성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는 동시에  

창의성을 이끌어내는 다섯 가지 열쇠를 소개하고 있다.  

물론 다섯 가지 열쇠가 좀 추상적인 편이어서 이를 익혀 활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분명 너무 어렵게만 생각했던 창의성을 보다 가까운 곳에서,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한  

점에서 도움이 되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