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2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미 네 명의 학사를 죽음으로 내몬 금서의 정체와 이를 집요하게 추적하는 살인자와 그 배후,  

그리고 이들을 쫓는 겸사복 강채윤의 숨 막히는 대결은 이제 최후의 결전으로 치닫는데...

 

1편에서 이미 네 명의 희생자를 내었지만 고군통서와 새로운 글자 창제를 둘러 싼  

경학파와 실용학파의 목숨을 건 한판승부가 펼쳐진다.

1편이 살인사건의 해결에 중점을 둔 추리소설적 요소가 컸던 반면

2편에선 고군통서와 한글창제를 둘러싼 양 세력간의 대결이 흥미진진하게 그려진다. 

고려를 멸망시키고 새롭게 시작한 조선왕조는 왕자의 난을 비롯한

수 차례 권력투쟁을 겪은 후 태종 때부터 왕권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태종은 왕위를 셋째아들 충녕대군에게 양위하면서 상왕이 되어  

세종의 장인어른인 영의정 심온에게 억울한 누명을 씌워 외척세력을 제거해버린다.  

이 때 세종의 참담한 심경을 담은 책이 바로 고군통서였다.  

이 책이 그토록 위험한 금서가 된 까닭은 세종의 아버지 태종에 대한 비판 뿐만 아니라 명나라에  

대한 비판도 담고 있었기에 이를 명나라가 안다면 무슨 평지풍파가 일어날 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학과 기술을 장려하고 우리 고유의 문화를 일으키려 했던 세종과 장영실, 박연, 정초 등의  

실용학파는 사대주의에 매몰된 경학파들의 극렬한 저항에 부딪친다.

새롭게 지배층이 된 양반과 그들의 이데올로기인 유교에 반하는  

신분에 상관없이 실력에 따른 인물등용과 각종 기술 장려,  

그리고 심지어 한자가 아닌 새로운 글자 창제는 경학파들에겐 목숨을 걸고 막아야 하는 일들이었다.  

그것은 그들의 기득권에 치명적이기 때문이었다.  

이런 극우세력의 반대를 물리치고 개혁을 이뤄 소수의 양반이 아닌  

전 백성이 잘 살게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설사 군왕이라해도 모든 걸 맘대로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물론 태종식의 피의 정치를 했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자신의 뜻을 관철할 수 있었겠지만  

세종은 그런 태종의 철권통치에 진저리가 난 인물이었다.  

그렇기에 이 모든 사건의 수괴는 감히 궁궐 내에서 집현전 학사들을 죽이고,  

더 나아가 침전에 침입하여 세종까지 죽이려 하는 엄청난 도발을 감행하기에 이른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으로 손 꼽히는 세종의 대표적인 업적인 한글창제는  

이렇게 엄청난 반대를 무릎 쓰고 비밀작전을 하듯이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우리만의 새로운 글자를 만든다는 사실이 명나라에 알려지면 외교분쟁을 일으킬 게 분명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명나라의 눈치를 보고, 경학파들의 반대에 맞서 이뤄낸 한글창제는  

우리 문화 발전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리고 오행에 기초하여 사람의 음성기관에서 나오는 소리를 과학적인 원리에 기초해 만들어 낸  

한글의 생성과정은 한글의 우수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국어 교과서에서 겨우 훈민정음의 앞부분만 배웠는데 이 책에 부록으로 실린 훈민정음 해례에 대해선

최소한 배우는 게 필수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한글날을 쉬는 내가 학교 다닐 때처럼 쉬운 국경일로  

부활시켜야 하지 않을까 싶다.

 

10년 넘게 한글창제에 얽힌 여러 관련 서적과 자료를 수집하여 30번 넘게 고쳐 썼다는 이 책은  

한글창제의 얽힌 미스터리를 추리소설 형식으로 흥미진진하게 잘 그려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개혁에 저항하는 수구세력은 늘 있었다.

자기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이들의 저항을 뿌리치고 국민을 위한 개혁을 하는 할 수 있는 용기와  

추진력이야말로 지금과 같은 어려운 시절에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책에서 나오듯이 목숨을 걸고 자신들의 소신을 지킨 세종과 집현전 학사들의 모습을 통해  

뿌리 깊은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듯이 그 어떤 시련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배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