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들 - 비즈니스 창의성을 깨우는 부와 성공의 수수께끼
앤드류 라제기 지음, 신정길.이선혜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0월
절판


진정한 혁신가가 되고 싶다면 독창적인 사람이 되고자 애쓰기보다는 문제를 잘 해결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34쪽

창의적 문제 해결? 그 대답은 표면상 공통점이 없어 보이는 정보들 사이에서 연관성을 찾는 것부터 시작된다.

문제의 해법은 '측면적 사고'다. 측면적 사고를 통해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야 창조적 사고를 할 수 있고, 마침내 자신이 원하는 아이디어를 내놓을 수 있다.-35쪽

우리는 왜 역사를 공부할까? 그것은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란 없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 순도 100퍼센트의 새로운 아이디어는 없다. 그러나 새로운 컨셉은 존재한다. 컨셉은 아이디어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컨셉을 이루는 개별적인 요소들은 비록 새로운 것이 아닐지라도 여러 아이디어의 눈에 보이지 않는 조합을 통해 결과적으로 큰 수익을 올리는 새로운 모델을 창시한다.-37쪽

고안적 창의성은 세 단계에 거쳐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겨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첫째, 새로운 아이디어는 구체화된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독창적인 것이어야 한다.
셋째, 고안적 창의성을 가진 아이디어는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38-39쪽

통찰력이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숨은(명확하지 않은) 방법을 찾아내는 능력이다.-93쪽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어 보이는 정보야말로 문제를 해결하고 훌륭한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101쪽

혁신을 굳이 정의를 내리자면 '경계를 초월해 사고하는 일'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위대한 아이디어는 한 분야 내에서 일하는 '일반형' 전문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분야에 걸쳐 일하는 만능인이나 한 분야로부터 다른 분야에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브릿지형' 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198쪽

오늘날 창의성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과제는 '생각할 시간'을 되찾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새로이 찾은 시간을 창의력 개발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방법을 찾는 것이다.-205-206쪽

'역으로 생각하기'는 창의적인 통찰력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된다.-222쪽

서양과 동양의 창의적 철학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가장 큰 차이점은 세계관이다. 서양에서 모든 사물은 옳은 것이거나 그른 것 중 하나로 평가된다. 아울러 서양인들은 모든 일에는 최선의 방법이 있다고 믿는다. 서양인들은 객관적인 사람들이다.-23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