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 1 : 얼굴을 보고 마음을 읽는다 - 허영만의 관상만화 시리즈
허영만 지음, 신기원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객', '타짜'로 영화는 물론 안방극장까지 열풍을 몰고 온 국민 만화가 허영만의 관상 이야기

사람 또는 사물의 모양새나 됨됨이를 뜻하는 꼴은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꼴 좋다'거나 '꼴값 한다'는 등의 표현을 봐도 꼴이라는 표현이 그다지 좋은 뉘앙스는 아닌 듯 하다.

그럼에도 꼴에는 우리 자신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의 마음이나 운명을 알기를 바라는 것은 모든 사람의 희망사항일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미래를 알고 싶어하고 다른 사람의 마음이나 행동을 알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전부터 관상학이라는 학문이 발달하였고

아직도 길거리를 가다보면 관상을 본다는 사람들이 영업(?)을 계속할 수 있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항상 선캡을 쓰고 다니는 만화작가 마수거리와 그를 감시하기 위해 출판사에서 파견된 고정란이

관상 전문가에게 관상을 배우는 형식으로 구성된 이 책은

관상의 abc부터 차근차근 이야기를 진행시킨다.

우리가 흔히 상식처럼 알고 있는 어디가 어떻게 생겨야 복이 있다느니 하는 그런 얘기들을

관상학이라는 학문으로 체계적으로 설명하여 관상학의 재미를 맛 볼 수 있게 해 주었다.

관상이 좋은 사람들의 사례를 직접 들어 설명하고 있어 더욱 설득력이 있었는데

1권을 거의 다 읽을 무렵에는 내 얼굴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얼굴도

무심코 쳐다보게 될 정도가 되었다.

 

한편으론 코, 눈, 귀, 입까지 각각의 좋고 나쁜 점은 어느 정도 알겠는데

이를 종합한 전체 얼굴의 관상을 보는 것은 역시 쉬운 일이 아닐 것 같았다.

부처님처럼 모든 부위가 절묘하게 결합한 관상이 아닌 다음에야

보통 사람들의 얼굴은 잘 생긴 부위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부위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느 부분의 좋은 점이 다른 부분의 나쁜 점을 보완할 수도 있고

반대로 어느 부분의 나쁜 점이 다른 부분의 좋은 점을 상쇄시킬 수도 있어

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해야 제대로 관상을 볼 수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성형수술을 해도 관상이 바뀌지 않는다는 꼴

성스러운 사람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해도 부족한 꼴을 노력으로 보충하려는

현명한 자는 되자는 것이 바로 꼴을 배우는 의미가 아닐까 싶었다. 

미디어 다음에서 계속 연재 중인 이 만화는 아무리 놀리고 협박하고 해도 선캡을 벗지 않는

마수거리의 얼굴이 과연 어떤 꼴을 하고 있을 지 2권을 기대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