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초 2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기억을 잃은 혜초는 자신이 쓴 양피지를 하루에 한 장씩만 읽기로 란수와 합의하고,

점점 잃어버린 기억을 확인할수록 과거의 끔찍했던 기억이 되살아나는데...

 

1편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점과 혜초의 잃어버렸던 과거가 교차되면서 약간은 혼란스러움을 주었다.

혜초가 잃어버린 기억 속의 진실은 역시 예상대로 끔찍하고 참혹했다.

인간의 탈을 쓰고 어찌 저럴 수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란수가 저지른 만행은

정말 생각만 해도 소름이 끼친다.

그리고 희귀병에 걸린 고선지를 도와 도망가면서 신비한 능력을 보여 주는 무희 오름.

혜초와도 묘한 인연을 가진 그녀의 비밀은 상황을 더욱 극한으로 몰고 가면서 

2편은 1편에 비해 스릴과 속도감있는 전개를 보여주었다.

 

혜초는 이 고난의 여정을 통해 과연 무엇을 얻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지금도 가기 쉽지 않은 실크로드를 따라 끊없이 걸어간 혜초

그 험난한 여정을 통해 그는 인간의 생노병사와 희노애락을 초월하는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었을 것 같다.

그리고 그의 발이 닿은 곳마다 탁월한 기록으로 남겨진 왕오천축국전

이 소설을 통해 그동안 이름만 알고 있던 왕오천축국전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안타까운 사실은 자랑스런 우리의 보물인 왕오천축국전이 프랑스에 있다는 점이다.

왕오천축국전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 빼앗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어서 빨리 되찾아야 할 것이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된 시대는 제국주의 세력인 당나라가 끊임없이 전쟁을 일으키던 시절로

중앙아시아 주변의 여러 나라들은 한시도 편하게 살지 못했다. 

강대국의 횡포로 인해 약소국들이 괴로움을 당하는 상황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았다. 

그리고 물질적 탐욕으로 인간으로서 차마 못할 짓도 저지르는 란수를 통해

인간의 부질없는 욕심이 부르는 댓가도 여실히 잘 보여주었다.

한편 혜초와 이교도인 야곱이 서로를 존중하며 사이좋게 지냈던 걸 보면

종교 갈등은 그야말로 일부 맹목적인 인간들이 만들어 낸 허상일 뿐이다.

그럼에도 인간의 역사가 종교전쟁으로 점철된 걸 보면 종교간의 평화로운 공존이 결코 쉽지 않았가보다.



왕오천축국전에서 모티브를 얻은 이 소설은 마치 혜초와 동행한 것처럼

혜초의 험난했던 여정을 실감나게 되살려냈고,

혜초와 고선지를 연결시켜 한 편의 작품을 멋들어지게 만들어낸 작가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작가의 바람대로 그 머나 먼 옛날 혜초의 험난했던 여정을 답사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