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첨론 - 당신이 사랑하고, 시기하고, 미워하는 사람 모두에게 써먹고 싶을 128가지 아첨의 아포리즘
윌리스 고스 리기어 외 지음 / 이마고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아첨이란 말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담겨 있다.

강한 사람의 환심을 사서 뭔가 부당한 이익을 추구하는 간신배들이 하는 짓이라는 선입견이 담겨 있다.

이 책은 역사적으로 행해진 아첨들을 살펴보면서 아첨의 진정한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는데 의미가 있다.

저자는 보상을 기대하는 칭찬을 아첨이라 정의한다.

즉 칭찬을 보다 넓은 개념으로 보고 칭찬 중에 보상을 기대하는 것을 아첨으로 본다.

책에선 아첨을 칭찬과 동의어로 보는 측면이 있었다.

칭찬은 아첨과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긍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고래로 춤추게 할 정도로 칭찬은 상대를 고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간관계 측면에서 윤활유 역할을 한다.

 

아첨의 특징, 방법, 효과 등에 대해 128개 주제로 정리하는 이 책은 아첨의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었다.

그 중에 기억에 남는 것은 아첨은 진실할 때 효과 만점이라는 사실이다.

사실 아첨은 거짓을 진실인 것처럼 꾸미거나 사실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진실한 것을 말하는 아첨이라면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 모두 기분 좋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수영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을 딴 박태환 선수를 최고의 수영선수라 치켜 세운다고 해도

이는 진실이기에 효과 만점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가장 유혹적인 아첨은 내가 소망하는 '나'에 대한 아첨이다.

사실 자기 자신에 대한 아첨은 어찌 보면 희망이랄까 자신에 대한 격려라고도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는 자기 암시를 하면 자기 내면에 숨겨져 있는 잠재력을 끌어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자기 발전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 것이 자신에 대한 아첨이다.

물론 지나치면 공주병이나 왕자병 등 불치병에 빠질 위험이 있다. ㅋ

 

아첨의 긍정적인 기능은 인간관계의 활력소가 되고 경쟁을 장려하며,

영감을 주고 아픔을 달래 주는 것이다.

반면 아첨이 거만함이나 탐욕을 부추키고 부패하기 쉬운 점은 부정적인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놀라운 점은 저자가 인간의 역사상 있었던 주요한 아첨을 거의 모두 망라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첨이란 주제로 이처럼 폭넓게 자료조사를 하여 책을 쓴 점은 분명 칭찬할 만하다.

(이것도 아첨일지도...ㅋ)

 

누구나 자신을 칭찬하고 추켜세워주는 말을 듣고 싶어하고 듣기 좋아하지만 

우리는 칭찬에 인색한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의 장점이나 잘 한 일에는 아첨이라 할 정도로 아낌없는 칭찬을 할 수 있는 마음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에서 배운 아첨을 가족과 친구들에게 잘 사용하여 소중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하도록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