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범 2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30
미야베 미유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연찮게 시작한 범행이 이젠 재미가 되어 버린 범인들

희생양을 고르며 범행을 즐기는 것으로 부족해 매스컴을 이용한 장난을 시작하는데...

 

1권에서 제3자의 시선에서 사건을 객관적으로 보여주었다면

2권은 범인들의 본격적인 범행과정을 보여주었다.

범인들이 과연 어떻게 범행을 저질렀는지를,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한편으론 범인의 성장과정을 보여주면서 어떻게 한 인간이 다른 인간들을 능욕하면서

끔찍하게 죽이는 괴물이 되었는지를 잘 보였주었다.

그 끔찍한 괴물도 첨부터 괴물은 아니었다.(또 다른 한 녀석은 잘 모르겠다. 타고 난 괴물일지도...ㅋ)

그의 절친한 친구가 지켜본 것처럼 타고난 악인은 아니었다.

악인은 그냥 만들어지는게 아닌 것 같다.

물론 이는 악인들의 변명이자 핑계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도 괴물이 되기 전엔 평범한 소년이었다.

그를 점차 악인으로 몰고 간 것은 가족과 친구였다.

범인의 성장과정과 범행과정, 그의 생각과 감정을 접하다 보니

결코 용서해서는 안 되는 자이지만 조금은 불쌍한 면도 있었다.

 

세상은 점차 가해자가 사라지고 있다.

물론 범행에는 직접적인 가해자들은 있지만 그들은 자신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라 말한다.

모든 사건을 인수분해해 보면 남는 건 피해자 뿐이다.

살인범도 자신이 살인을 저지를 수밖에 없게 만든 상황, 자신의 환경을 탓하며 자신도 피해자라 한다.

특히 히구치 메구미의 행태는 그 전형적인 표본이라 할 수 있었다.

본인은 물론 범인의 가족일 뿐이니 가해자라 할 수 없지만

피해자의 가족인 신이치에게 행하는 생떼는 정말 가관이었다.

신이치가 자기 아버지의 범행을 유발했느니 하면서 억지를 부리는건 정말 봐주기 힘들 지경이었다.

요시다 슈이치의 '악인'에서도 범인이 자기 어머니와 관계에서 비슷한 말을 하는데

자기가 잘못하고도 다들 자신이 피해자라 하소연하는 어처구니 없는 행태가 만연한 세상이 되고 말았다.

 

그리고 범인들은 자신들의 왕국을 만들어 가고 있었다.

자신이 왕이며 나머지 사람들은 자신의 지배하에 있는 노예이자 한낱 소모품과 장난감에 지나지 않았다.

일본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문제화되고 있는 히키코모리는

전형적인 자신만의 왕국을 만드는 사람들이다.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 주지 않고 자신만의 왕국을 만든다면

그건 크게 문제되진 않을 것이다.(그것도 점점 사회문제가 되긴 한다.)

하지만 이 사건의 범인들처럼 다른 사람도 자신의 왕국에 강제로 편입시켜 그들에게 철권을 휘두르며

그것을 당연시한다면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닐 것이다.

점차 파편화되어 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이 문제는 꼭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범인들의 예상치 못한 사고로 끝난 듯 보이는 사건을 뒤로 하고

3부에서는 사건이 끝난 후 신이치와 사건을 취재해서 연재해 큰 성공을 거둔 시게코,

그리고 오빠가 범인임을 믿을 수 없는 유미코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일어난 사건(?)은 또다시 분노를 자아냈다.

어떻게 인간이 끝까지 저럴 수가 있느냐며 정말 치가 떨렸다.

3권에선 아마 최고 악인의 마지막 발악과 속 시원한 응징이 예상된다.

제발 내 맘 속에 응어리진 이 분노가 시원하게 해소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