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청 - 마음을 얻는 지혜 ㅣ 위즈덤하우스 한국형 자기계발 시리즈 2
조신영 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현악기 제조업체를 다니는 이토벤 과장은
어느 날부터 잘 들리지 않고 몸도 안 좋은 걸 느끼게 된다.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 독단적 스타일로 아내와도 사이가 멀어져 별거 중이고
회사에서도 그다지 친하게 지내는 사람이 없던 그는
때 마침 회사가 구조조정에 나서자 대리점을 받는 조건으로 퇴사한 후
자신이 중병에 걸린 사실을 알게 되는데...
주인공인 샐러리맨이 자신의 부족한 면을 깨닫고
자신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그린 우화라는 점에서 '배려'와 비슷한 유형의 자기계발서였다.
주인공이 가족과 동료들에게서 소외를 당하는 점도 유사하다.
이토벤은 이과장의 별명으로 음악을 좋아하고 곱슬머리인 그의 외모가 베토벤과 유사한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귀가 먼 베토벤처럼 잘 듣지 않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다른 사람의 말을 듣기보단 자기 말만 했던 이토벤은
자신이 병에 걸려 삶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자
그동안 소홀히 했던 가족들을 돌아보게 된다.
특히 아들이 자폐증에 가까운 증세를 보이자
아들이 재능을 보이는 바이올린을 자신이 직접 만들어 주기 위해
마지막 열정을 불태우면서 막혔던(?) 귀를 열게 되는데...
이토벤이 귀를 열게 되는 과정은 정말 눈물겹다.
아들의 바이올린을 만들어 주기 위해 퇴사한 회사를 다시 찾아가
자신을 냉대하는 사람들의 비위를 맞춰 가며 바이올린을 조금씩 만들어 나간다.
이토벤이 귀를 열고 듣는 법을 배워가면서 차츰 동료들과 아내의 맘을 열어가기 시작하자
마침 회사도 위기에 처한 상태에서 직원들의 소리에 귀를 열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 제품을 생산하는데 도전함으로써
그동안 막혔던 의사소통의 활로를 다시 개척하게 되었다.
그리고 점점 기력을 잃어가는 가운데 아들의 바이올린을 위해
마지막 열정을 불태우는 이토벤의 변화된 모습은 아버지의 참된 사랑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었다.
한편 들을 청이나 암의 한자 풀이가 중간에 나오는데 정말 걸작이다.
들을 청(聽)자를 구성하고 있는 한자들로 들을 청자를 해석하면
좌변은 왕(王) 같은 귀(耳)를 갖는다는 뜻으로 매우 커다란 귀로
들을 때는 집중해서 들어야 함을 의미하고
우변의 열개(十)의 눈(目)은 상대를 집중해서 바라보고
일심(一心)은 상대의 마음과 하나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즉 듣는 것은 눈과 귀를 집중해서 상대의 마음과 하나가 됨을 뜻한다.
암(癌)은 입이 세개나 필요할 정도로 하고 싶은 말이 많은데
그걸 산에 가두어 놓고 막아버려 생긴 것이란 해석도 일리가 있었다.
요즘은 말을 잘 하는 사람이 각광을 받는 세상이다.
그래서 화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이 많은데
정작 그들이 하는 말을 귀 기울여 들어 줄 사람들은 없다.
바쁜 세상에 자기 말만 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들어 줄 여력은 없다.
이러한 일방적 소통구조는 결국 사람들 사이의 오해만 증폭시켜
진정한 소통이 사라진 세상을 만들고 말았다.
이 책은 이런 소통이 사라진 세상에 소통을 회복시키기 위해선
무엇보다 경청이 필요함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눈과 귀는 둘인데 입이 하나인 이유가 많이 보고 듣되 적게 말하라는
제논의 말처럼 듣는 걸 잘해야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마음을 얻는 방법은 말의 힘이 아닌 경청의 힘임을 이 책은 잘 가르쳐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