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고든 뉴펠드 외 지음, 이승희 옮김 / 북섬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바람직한 부모상을 새롭게 제시한 책

아직 부모가 되어 보지 못해서 솔직히 실감은 안 나지만

분명히 예전에 비해 요즘 아이들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가난과 많은 형제들로 인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란 부모 세대들에 비해

우리 세대들은 경제성장과 핵가족 추세로 부모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다.

그런 우리들이 이제 부모 세대가 되면서 아이 양육은 새롭게 어려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맞벌이로 인한 양육 문제와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 등으로 인해

아이 낳기를 주저하는 부부들이 태반이고

아이를 낳은 후에도 어떻게 키워야할지를 모르고 있다.

그야말로 준비된 부모가 없는 이 시점에 이 책은 부모로서의 자세를 충고하고 있다.

 

이 책의 키워드는 한마디로 애착이다.

아이들에게 애착을 가지자는 것이 이 책의 주제다.

어찌보면 너무나 뻔한 얘기인 것 같지만 현실은 그리 만만하지 않다.

요즘 아이들을 보면 5~6살만 되도 부모보다는 친구가 우선이고

부모의 역할은 오직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해 주는 존재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게 되어 버렸다.

이 책에서 가장 문제시하고 있는 또래지향성에 우리 아이들이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꼭 또래가 아니더라도 게임 등에 아이들을 빼앗긴지 오래이다.

이런 아이들을 부모의 품으로 되찾을 방법으로 바로 애착을 제시한다.

 

애착하면 우리나라 부모를 따라갈 사람들이 없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이 책에서 제시하는 애착은 우리나라 부모의 집착(?)과는 다르다.

우리나라 부모의 과잉보호는 결코 애착이라 할 수 없다.

아이들은 부모의 과잉보호를 그들에 대한 애착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부모들이 당연히 해야 할 귀찮은 애정표현의 일환일 뿐이다.

그러한 그릇된 애정으로는 아이와 부모를 진정으로 결합시킬 수 없다.

 

한편으론 아이들의 독립심을 키운다며 친구들과 많이 어울리게 하고

뭐든지 혼자 할 수 있게 만드는 것도 결코 옳은 방법이 아니라 한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조건부 사랑을 주는 것도 잘못된 방법이다.

말 잘 들어야 착한 아이라느니 하는 조건을 단 사랑은

아이가 부모의 사랑을 전적으로 믿지 못하게 만들어

부모와 아이의 끈끈한 신뢰를 형성하는데 방해가 된다.

그 어떤 경우에도 아이의 손을 놓지 않는 애착만이

부모와 아이가 서로 믿고 사랑하는 가정을 만들게 해 준다.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자식농사라 하는데

이 책은 그동안 우리가 잘못 생각하고 있던 양육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 주는 책이었다.

물론 이 책에서 제시하는 애착이 만병통치약이라 할 수는 없겠지만

역시 아이에 대한 진정한 사랑이라 할 수 있는 애착을 회복하는 것이

잃어버린 아이들을 부모의 품으로 돌아오게 만드는 방법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이미 부모이거나 부모가 될 사람들이 꼭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