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그림의 마음 - 조선의 두 천재 정선과 김홍도가 옛 그림으로 전하는 휴식과 위로
탁현규 지음 / 지식서재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들이 많지만 아무래도 이 책에서 다루는 정선과 김홍도가 1, 2등을 다툴 것

같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 8명을 선정해 2권에 각 4명씩 다룬 책

'화인열전'을 펴낸 적이 있는데, 1권에 김명국, 윤두서, 조영석, 정선을, 2권에선 심사정, 이인상, 

최북, 김홍도를 다루었다. 암튼 전문가나 일반 대중이나 조선의 대표 화가로 정선, 김홍도를 꼽는데 

별 이견이 없을 것 같은데 이 책은 정선과 김홍도의 대표작들을 정말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게 부분 

도판들까지 수록해 해설한다. 낯익은 구성이라 확인해 보니 얼마 전에 읽었던 '조선미술관'의 저자 

탁현규의 책이었다.


먼저 정선과 김홍도의 삶과 그림에 대한 간략한 정리를 한 후 정선과 김홍도의 작품 해설에 각 장을

할애한다. 먼저 선배격인 정선부터 다루는데 포문을 여는 작품은 '귀거래도' 10폭 병풍이었다. 제목만

봐선 봤던 작품인지 긴가민가했는데 올해 상반기에 호암미술관에서 열렸던 '겸재 정선전'에서 봤던

작품이었다. 겸재 정선의 핵심 작품들을 총정리하는 대규모 전시여서 사실 이 작품을 제대로 살펴보지 

못했었는데 이 책을 보니 관람 당시엔 전혀 몰랐던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인왕제색도' 등 

정선의 대표작들이 총출동하는데 '동리채국', '유연견남산'처럼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작품들도 

적지 않았다. 아무래도 정선의 그림들 중에선 금강산 그림들이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데 지금은 

직접 가볼 수 없는 곳이라 더 그런 것 같다. 유홍준 관장의 '나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 상권을 통해

금강산의 매력을 물씬 맛보았는데 이 책에서 자세하게 다루는 정선의 금강산 그림들도 금강산의

진수를 충분히 알 수 있게 해주었다. 정선의 또 다른 대표작 '금강전도'로 정선의 대표작 감상을

마무리한다.


김홍도는 흔히 풍속화로 유명해서 이 책에서도 풍속화들을 다루지 않을까 기대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서화실에서 '풍속도첩'을 전시한 적이 있어 대부분의 작품은 봤지만 자세한 해설을 곁들이면 더욱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아쉽게도 풍속화들은 다루지 않았다. 그 대신 '고사인물도'

8폭 병풍을 시작으로 또 다른 대표작들을 만나볼 수 있었다. '고사인물도'도 확인해 보니 예전에 

국립중앙박물관 서화실 전시때 봤던 작품이었는데 잊고 지내다가 이 책을 통해 작품 내용의 의미를

제대로 알게 되었다. '서원아집도'는 작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봐서 아직 기억을 하고 있었는데

비슷한 부채 그림도 있는 건 이번에 알았다. 이 책에서 자세히 다루는 '주부자시의도' 병풍도 혹시나

싶어 확인해봤더니 역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렸던 '탕탕평평' 전시에서 봤던 작품이었다. 대미를

장식하는 '추성부도'는 그나마 '인왕제색도'와 함께 이건희 컬렉션 전시때 봤던 기억이 생생해서 

나름 훈훈한 마무리를 할 수 있었다. 이 책을 보면서 작품을 제대로 감상하지 않으면 예전에 본 적이

있는 작품도 봤는지도 모르게 된다는 사실을 새삼 실감했는데 눈으로는 제대로 확인하기 힘든 부분

까지 확대한 도판을 통해 자세히 설명해줘서 고미술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