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성공한 리더들은 아무리 바빠도 미술관에 가는가 ㅣ CEO의 서재 45
아키모토 유지 지음, 정지영 옮김 / 센시오 / 2025년 8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비즈니스와 예술은 어떻게 보면 서로 무관한 분야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책의 제목처럼 성공한 리더들
중에는 예술에 조예가 깊거나 예술에서 좋은 영감을 얻어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읽은 책 중에도 이 책과 비슷한 제목인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미술관에 갈까?'란 책이 있었는데
앞서 읽은 책과 비슷한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좀 더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 예술에 접근한다.
총 5개의 파트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비즈니스 관계자가 아티스트의 창조성과 사물을 보는 법을 배워
혁신을 이룰 수 있음을 얘기하는데 예술가들의 '아트 사고'의 핵심은 올바른 물음을 제기할 수 있는
통찰력과 독특한 시점임을 잘 알려준다. 저자 자신이 직접 관여한 나오시마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여러
사례들을 소개하는데 마침 얼마 전에 페이스 갤러리 전시로 알게 된 제임스 터렐이 한 '아티스트란
답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물음을 제기하는 사람이다'란 말이 저자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를 압축하고
있었다. 시각 등 기존의 틀에만 의존하지 않고 오감에 의한 지각을 발달시키고 상식을 의심하는 제로
베이스로 생각하는 것을 통해 급변하는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는 것이 예술이 주는 강력한 힘일
것이다. 이 책에선 오자키 데츠야가 스기모토 히로시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정리한 현대미술의 정의를
소개하는데 임팩트, 콘셉트, 레이어를 3대 요소라고 하면서 리더에게 영감을 주는 아티스트로 마르셀
뒤샹, 요제프 보이스, 앤디 워홀을 선정한다. 역시나 기존 미술계에 신선한 충격을 선사한 파격적인
아티스트들이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로 손꼽혔다. 예술작품의 가치와 관련해선 작가가 직접
판매하는 프라이머리 마켓과 한 번 판매되었다가 시장에서 다시 거래되는 세컨더리 마켓으로 구분할
수 있고 예술작품의 가격 형성과 거래와 관련한 흥미로운 얘기들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각 파트마다
말미에 내용을 요약 정리해놓고 관련된 현대미술 개념도 소개하고 있어 읽은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할 수 있었는데 그동안 잘 몰랐던 비즈니스와 아트와의 밀접한 관계를 여러 사례들을 소개하며
잘 알려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