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알베르 카뮈 전집 2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8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머니가 사망했다는 전보를 받은 뫼르소는 어머니의 죽음에 눈물 한 방울 보이지 않는다.

만사에 심드렁하던 뫼르소는 레몽이라는 포주와 친구(?)가 되어

여행을 갔다가 아랍인들과 시비에 휘말려 살인을 저지르는데...



카뮈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이 책은 그야말로 우리가 사는 세상의

이방인과 같은 존재인 뫼르소라는 인물을 그리고 있다.

1부와 2부로 나눠진 이 책은 1부에선 살인을 저지르기 전 뫼르소라는 인물의 일상적인 모습을,

2부에서는 살인을 저지르고 재판을 받는 뫼르소를 통해

세상이 뫼르소에게 내리는 단죄(?)와 그에 대한 뫼르소의 담담한(?) 반응을 그리고 있다.



뫼르소라는 인물은 그야말로 무색 무취의 인물이다.

어머니의 죽음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고 매사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 그는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새로운(?) 인간의 전형이다.

제목처럼 모든 사람들에게는 낯선 이방인이었다.

흔히 인간적이라는 감정이 결여된 뫼르소의 모습은 그럼에도 왠지 미워할 수 없는 느낌이 든다.

어딘가 모르게 나 자신과, 아니 우리들과 닮은 그의 모습을 발견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세상에 시달리며 모든 일에 무관심해지고 싶을 때,

인간관계라는 굴레(?)에 의해 내키지 않지만 해야할 때

뫼르소의 솔직(?)하고 담담한 그의 모습이 오히려 부러웠다.



한편 2부에서 그리고 있는 뫼르소에 대한 재판은

오히려 뫼르소를 심판한다기보다는 뫼르소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반응과 사법제도를 심판하는 것 같았다.

살인범인 뫼르소는 처벌받아 마땅하지만

그가 과연 사형을 당할 죄를 지었는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검사는 뫼르소가 자기 어머니 죽음에도 눈물조차 보이지 않은

냉혹한이라 비난하지만 그건 그에 대한 도덕적(?) 비난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법의 심판의 대상은 분명 아니다.

그럼에도 마녀사냥식 여론몰이는 배심원들을 자극하기 충분해

그에게는 부당한(?) 사형선고가 내려진다.

그리고 그에게 용서를 구하라고, 회개하라고 강요한다.

뫼르소는 자신을 소외시킨 채 사람들이 벌이는 이 황당한 이벤트(?)가 낯설 뿐이다.

하지만 뫼르소는 이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오히려 자신의 사형장에 많은 사람들이 오길 기대한다.

그는 그 자신에 대해서도 이방인이었는지 모르겠다.



이 책은 카뮈의 이방인과 그에 대한 해설이 각각 반을 차지한다.

특히 세 명의 이방인에 대한 해설은 어찌 보면 이방인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른 한편으론 불필요한 군더더기를 붙여다 놓은 느낌이 든다.

해설 내지 비평은 그야말로 작품에 대한 또 다른 시선에 불과한

작품 이해의 한가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지 정답은 아닌 것이다.

난해한 그들의 해설이 작품을 더 미궁 속으로 밀어넣는 것 같았다.



그 당시엔 정말 이방인이었던 뫼르소같은 인물들이 요즘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방인을 통해 카뮈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할 순 없지만

점차 인간미를 잃어가고 삭막해져 가는 세상에

이방인이 된다는 건 오히려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르겠다.

이방인 뫼르소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과 우리 자신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