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고 또 누가 이 밥그릇에 누웠을까
김선우 지음 / 새움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김선우 시인이 그동안 발표한 글들을 모은 책

사실 그녀의 시를 읽어 보지 못해 그녀에 대해선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만약 내가 아는 시인의 글들이었으면 더욱 재밌었지 않았을까 싶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대안학교인 인디고 서원의 아이들과의 허심탄회한 대화를 엮은 부분,

각종 신문 등에 시사적인 문제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담은 글들

마지막으로 비평에 대한 그녀의 날카로운 비평(?) 

 

인디고 서원의 아이들과의 꿈을 주제로 한 대화는

입시 지옥에 시달리며 진정한 꿈을 잃어버린 요즘 아이들과는 조금은 다르지만

그래서 더욱 꿈이 간절히 필요한 대안학교의 아이들의 미래에 대한 진지함이 잘 묻어났다.

 

다음으로 각종 시사적인 문제에 대해 쓴 그녀의 글들은

그녀의 정신세계를 잘 엿볼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노동자 등 약자의 편에 선 진보적인 시각과

기계문명과는 한발짝 물러 서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사람 냄새 나는 삶을 지향하는 그녀의 세계관이

시인 특유의 언어로 잘 드러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인이 비평가에게 보내는 글은 비평의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비평하면 대부분 찬사보다는 냉혹한 질책이 먼저 떠오른다.

작품에 칼날을 들이대어 작품을 난도질하고 나름의 궤변(?)으로 마무리하여

작가와 작품을 두 번(?) 죽이는 비평의 그늘진 모습을 날카롭게 비평한다.

그리고 시인들과 비평가들의 상생의 길로

비평가들이 참신한 신인 작가들의 작품을 발굴하고 소개해

그들의 성장에 밑거름을 주고, 중진과 원로 작가들에게는

그들의 창작열을 채찍질하여 좋은 작품을 계속 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비평을 해 주길 주문한다.

그러면서 이미 고인이 된 김현의 비평이 그립다 한다.

마침 내가 김현의 '행복한 책 읽기'를 읽고 있는 중이라

그녀의 말이 실감날 듯 했다.(사실 김현의 책은 어렵다. ㅜ.ㅜ)

 

아무래도 시인은 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른 감수성을 가진 듯하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고 놓치는 것들을

시를 통해 우리들에게 일깨워 주고 느끼게 해 준다.

비록 시는 아니지만 김선우라는 시인의 글들을 통해

그녀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된 듯한 느낌이다.

그녀의 본업(?)인 시를 통해 다시 한 번 그녀를 알고 싶어지게 만든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