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교회사 - 교양인을 위한 13가지 기독교 신앙 이야기
이성덕 지음 / 살림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크리스찬이 아니지만 교양 수준으로 보면 좋을 것 같았던 책

하지만 크리스찬이 아닌 평범한 사람이 보기엔 좀 어려웠다.

역시 성경 등의 기본적인 지식이 전제가 되야 술술 읽을 수 있을 책이었다.

 

이 책은 기독교에서 대중적인 13가지 소재를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다.

성경, 사도신경의 형성, 부활절의 기원과 의미, 성탄절의 유래, 세례, 성만찬의 의미,

주일과 안식일의 차이, 주기도문의 유래와 의미, 십계명, 십일조, 교회의 직분, 성상 등

기독교와 관련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하고 궁금해 할 소재들을 골라 설명하고 있는데

역시 어느 정도 기독교에 대한 지식이 있는 크리스찬이 아니고선

그다지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이 책의 장점 중 하나는 컬러 사진을 많이 실어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

주로 기독교와 관련한 인물화로 미술관에 볼 수 있는 작품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어

종교서일뿐만 아니라 미술서의 역할도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역시 오늘날의 종교는 인간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기독교도 하나님과 예수님의 말씀과 행동을 따르는 종교지만

그에 대한 해석을 가지고는 여러 파로 갈라져서 통일된 해석을 내놓는데는

그리 성공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가 따로 없다.

역시 사람이 하는 일이라 신의 뜻을 명확히 알기는 어려운 것 같다.

 

개인적으론 중학교도 미션스쿨을 다녀서 강제적으로(?) 종교시간에

성경 공부도 하고 예배도 하고 그랬다.

대학교야 자기가 선택해서 가니깐 뭐라 할 수 없지만

선택권이 없고 추첨(일명 뻉뺑이)으로 가는 중고등학교에서

강제적으로 특정 종교를 교육시키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 종교를 안 믿는 사람들에겐 고통의 시간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우리의 종교단체들과 종교사학의 문제점이 바로

타 종교에 대한 배려가 거의 없는 맹목적인 배타성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기독교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의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역시 비크리스찬으로서의 한계가 아닌가 싶다.

믿음이 있는 사람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

믿음이 없는 제3자의 시선으로는 쉽사리 납득되지 않는 것

그게 바로 종교가 아닌가 싶다.

가장 선교를 열심히 하는 기독교에서 자신들의 종교에 관해 이해시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얼마 전의 아프간 사태처럼 다른 사람들의 종교도 존중해주는 맘을 좀 더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