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사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스터리계의 화수분이라 할 수 있는 히가시노 게이고는 상당한 작품들을 쏟아내면서도 다양한 소재를

선보여 항상 대단한 작가라는 생각이 든다. 그동안 일본 작가 중에서는 아마 가장 많은 작품들을 읽어

본 것 같은데 여전히 봐야 할 책이 무수히 많은 상태인데 회사 도서실에서 우연히 이 책을 발견해서

바로 대출해왔다.


책 제목만 보면 당연히 히가시노 게이고의 대표작 중 하나인 '용의자 X의 헌신'류의 짝사랑 얘기인가 

싶지만 예상 외의 얘기들이 전개된다. 데이토대학 미식축구부원들은 졸업 후에도 매년 11월에 함께

자리를 하면서 옛날 추억을 되새김질 하는데 쿼터백이었던 데쓰로는 팀 매니저였던 달라진 모습의

미쓰키를 보고 놀란다. 미쓰키는 자신이 몸은 여자지만 남자의 마음을 가졌다고 충격적인 고백을

한다. 예전에 미쓰키와 성관계도 가졌던 데쓰로는 더욱 충격을 받지만 그것으로 부족해 미쓰키는 자신이

바텐더로 일하던 '네코메'라는 가게의 가오리라는 호스티스를 스토킹하던 남자를 죽였다며 폭탄선언

까지 한다. 데쓰로와 아내 리사코 등 미식축구부 친구들은 미쓰키를 지키려 계획을 세우지만 기자를

하고 있는 다른 친구 하야타가 뭔가 냄새를 맡고 사건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최근에 읽은 '정욕'이란 작품도 특이한 취향을 가진 사람들을 소재로 과연 올바른 욕망이 무엇인지에

대한 어려운 화두를 던지는데 이 작품도 남자와 여자라는 구별은 과연 절대적인가 하는 난제를 던진다.

육체적으로는 성염색체와 성기 등을 기준으로 비교적 쉽게 구별을 할 수 있지만 이 책에서 등장하는

남녀생식기를 모두 가진 반음양 등에 대해선 뭐라 해야 할지 쉽지가 않다. 게다가 '젠더'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면 더욱 복잡해지는데 미쓰키처럼 몸과 다른 성적 정체성을 자각하는 사람들은 요즘은 성적

소수자라며 그 나름의 존중을 해야 하는 세상이 되었다. 이 책에서는 남자와 여자는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거라며 예전과 같은 엄격한 구분을 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임을 설파하는데 소위 일반적인 몸과

맘이 동일한 남녀와는 다른 존재들이 있음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이 책에선 그런 사람들이

남녀 구별을 명확히 요구하는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호적교환이란 기발한(?) 방법까지 동원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데 다수의 성정체성 혼란을 겪지 않는 사람들이 보기엔 저렇게까지 해야 하냐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그들에겐 그만큼 절박한 사정일 수 있을 것 같다. 암튼 이 책에선 전혀 생각해

보지 않았던 사람들이 겪는 세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자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해

무리수를 두는 점은 '용의자 X의 헌신'과도 비슷한 측면이 있었다. 전형적인 미스터리물과는 사뭇

결이 다르긴 하지만 사회성이 짙은 소재를 능수능란하게 요리한 히가시노 게이고의 절묘한 솜씨가

역시 돋보인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