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썰의 전당 : 서양미술 편 - 예술에 관한 세상의 모든 썰
KBS <예썰의 전당> 제작팀 지음, 양정무.이차희 감수 / 교보문고(단행본)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BS에서 '예썰의 전당'이란 프로그램이 한다는 사실은 예고편을 봐서 알지만 직접 시청한 적은 없다.

시간대가 안 맞는 이유도 있고 TV를 거의 안 보기 때문이기도 한데 프로그램의 설정 자체는 내가 관심이

있는 미술 관련한 흥미로운 내용들을 들려줘서 기회가 되면 찾아보고 싶기는 하다. 그런 참에 마침

방영된 프로그램을 책으로 엮은 서양미술편이 나와서 그동안 시청을 하지 못한 아쉬움을 달래주었다.


이 책에선 서양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17명을 선정해 그들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들려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필두로 해서 서양미술사에서 빠질 수 없는, 한 가닥 했던 사람들이

줄줄이 등장하는데 굳이 약간 인지도가 낮은 사람이 있다면 윌리엄 호가스 정도가 아닐까 싶다. 다빈치는

'모나리자'와 '최후의 만찬'에 이어 '다빈치 노트'에 관한 얘기를 들려주는데, 특히 '다빈치 노트'는 

남아 있는 7,200페이지 분량의 1/00을 빌 게이츠가 3천만 달러에 구매했다고 하니 그 속에 담긴 내용이

정말 대단한 가치를 가진 것 같다. '도전'이 코드였던 다빈치에 이어 알브레히트 뒤러는 '자화상'을

중심으로 자신을 탐구한 화가로 소개되고, '완벽'을 추구했던 미켈란젤로는 '피에타', '다비드',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를 통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여실히 보여줬다. 풍속화가로 유명한 피터르

브뤼헐은 '욕망의 재발견'이란 관점에서, 당대에도 스타였던 루벤스는 사람과 이야기의 융합 마에스트로

이자 평화와 화해의 메신저로 그려진다. 작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봤던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전시의 대표작 중 하나였던 마르가리타 공주의 성장 과정을 보여주는 벨라스케스의 그림들과

역시 자화상의 대표 화가 렘브란트의 굴곡진 인생도 엿볼 수 있었다.


평범한 일상을 그린 얀 페르메이르에 이어 막장 드라마를 능가하는 풍자화 '결혼세태'를 선보인 윌리엄 

호가스, 농민의 삶을 귀하게 담아낸 밀레,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함을 담아낸 모네, 죽고 난 이후에야 

자신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은 고흐 등 서양미술사를 주름잡은 화가들이 연이어 등장해 그들의 작품과

흥미로운 사연들을 들려준다. 빈분리파의 선봉에 섰던 클림트, 광고 포스터 등으로 유명해진 체코의

국민화가 알폰스 무하, 죽음, 불안, 공포를 그림으로 승화시켰던 뭉크, 다양한 색으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표현했던 마티스, 반전과 평화의 메시지를 작품에 담아낸 피카소까지 친숙한 대가들을 만나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대부분은 이미 다른 책들을 통해 아는 얘기들이었지만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도

적지 않았는데, 피카소가 그린 한국전쟁 그림이 '한국에서의 학살'만 있는 줄 알았더니 '전쟁과 평화'란

작품도 있었고 뭉크의 '절규'도 '모나리자'처럼 도난당한 적이 있으며 총 네 개 버전이 있다는 것도

이번에 알게 되었다. 방송을 직접 보진 않아서 뭐라 말하긴 어렵지만 방송 내용을 담은 이 책을 보니

방송도 미술의 매력을 제대로 느끼기에 충분하지 않았을까 싶다. 음악 등 연관된 내용들까지 풍부하게

담아 미술 교양서로 손색이 없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