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미술관 - 그림으로 만나는 생의 모든 순간
장혜숙 지음 / J&jj(디지털북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의 소재는 무수히 많지만 아무래도 인간이 가장 중요한 소재가 아닐까 싶다. 지금이야 휴대폰에도

카메라가 있어 언제든지 사진을 찍어 남길 수가 있지만 카메라가 없던 과거에는 그림이 사진의 역할을

대신했다고 할 수 있는데 출생부터 죽음까지 인간의 삶의 긴 여정 속에서 중요한 순간들도 그림으로

담을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은 생의 모든 순간을 담은 그림들을 소개하면서 우리 삶의 순간들이 그림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책에선 삶의 주요 장면들을 '탄생과 유년', '교육', '사랑', '삶의 기쁨', '죽음과 장례'의 다섯 부분으로

나눠 각각 5~6점의 관련된 그림들을 소개한다. 인생의 첫 장면은 베르트 모리조의 '요람'이 차지했다.

요람에 있던 시간을 기억하는 사람은 없지만 누구에게나 요람에 누워 부모의 보살핌을 받던 순간이

있었을 것이다. 그림에 얽힌 사연과 저자의 감상 등을 들려준 후 '작가 알기'와 '미술사 맛보기'를 

끝에 둬서 심화학습을 시도한다. 다음으론 밀레의 그림을 모사한 고흐의 '첫 걸음, 밀레 이후'로 걸음마를

시작했던 시절을 보여주고 이후 좀 더 성장해 아이들이 놀이를 하고 학교에 가는 모습이 등장한다. 

청년시절엔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담은 그림들을 보여주는데, 예전엔 어릴 때 장래희망으로 과학자가 

많이 꼽혀 그런지 조금 뜬금없이 '17세기 네덜란드의 과학'이란 주제로 페르메이르의 '천문학자'와 

'지리학자'가 선보인다. 특히 '지리학자'는 독일 여행 갔을 때 프랑크푸르트 슈테델 미술관에서 직관한 

작품이라 더 반가웠다.


인생의 절정기엔 역시 '사랑'이 빠질 수 없다. 사랑과 결혼, 자녀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차례로

보여지는데 결혼생활은 현실이라 그런지 오래 가지 않아 시들해지는 모습이 로제 드 라 프레네의 '결혼

생활'에 잘 담겨 있었다. '삶의 기쁨'을 거쳐 바로 '죽음과 장례'에 이르는데 삶의 덧없음을 잘 보여주며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나?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로 마무리를 한다. 삶의 여러

순간들을 담은 그림들을 감상하면서 관련된 저자의 사연들을 듣는 재미가 솔솔했는데 작가와 미술사까지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어서 그림을 보는 즐거움과 미술에 대한 지식을 함께 쌓을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