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 아름다움은 인간을 구원하는가
조주관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10월
평점 :
톨스토이와 더불어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도스토옙스키의 작품들은 솔직히 제대로 읽어본 작품이
아직까진 없어서 그의 명성만 알고 있지 뭐라 평가하기는 어려운데 이 책에선 그가 사랑한 그림들을
다룬다니 과연 어떤 작품들이 언급될 것인지 궁금했다. 도스토옙스키는 미술애호가로도 유명했고 여러
예술작품들을 창의성의 교재로 삼았다고 하는데 작품에 그림들을 언급하는 것은 물론 미술관을 방문한
후 화가들의 그림을 상세히 관찰해 '작가 일기'에 기록해놓았다고 한다. 이 책에선 이런 도스토옙스키의
미술평론 등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들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 걸 시도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성과 속', '미와 추', '생과 사'의 3부로 나눠 여러 미술작품들과 도스토옙스키의
관련 작품들을 소개한다. 먼저 도스토옙스키가 어린이에 대한 사랑으로 유명한 걸 언급하며 스페인
화가 무리요의 '성스러운 가족' 등을 보여주면서 '백치'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소개한다. 사실
무리요도 전에 어떤 미술 책에서 본 기억이 가물가물한 데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들을 읽지 않은 상태다
보니 저자의 설명이 아무래도 확 와닿진 않았다. 그래도 그림들과 도스토옙스키 소설 속 인물이나 상황을
적절하게 연결지어 책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도 도스토옙스키가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는 대략 짐작이
갔다. 특히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는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주제로 변주되었고 어쩌다 피가 섞여
가족이 된 '우연한 가족'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로 완성된다 .이렇게 여러 그림들이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는데 그에게 영향을 준 화가나 작품들 중에는 생소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바토니, 코레조 같은 서유럽쪽 화가들은 물론 페로프, 쿠인지 등 러시아계 화가들이 대거 등장하기
때문인데 이렇게 예술 강국인 러시아가 푸틴 일당으로 인해 전범 국가로 전락하고 만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잘 몰랐던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세계를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는데 아무래도 이 책에 언급된 여러 명작들을 직접 읽어봐야 그 진정한 가치를 맛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여러 그림들을 함께 감상하면서 그야말로 미술과 문학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 되었는데 도스토옙스키 문학의 힘에 일정 부분 미술이 차지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