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을 걸으며 생각한 것들 - 사적인 국립중앙박물관 산책기
이재영 지음, 국립중앙박물관 감수 / 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립중앙박물관은 집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어 수시로 방문을 하다 보니 전체 전시실을 한 번씩은

모두 관람을 했는데 독학(?)으로 관람을 하다 보니 뭔가 아쉬움이 남았다. 그래서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안내해주는 책을 만나고 싶었는데 왠지 이 책이 제격이지 않을까 싶었지만

알고 보니 소장품들에 대한 해설서라기보단 소장품들에 대한 저자의 감상을 담은 에세이집이라 할 수 

있었다.


과연 어떤 유물들에 대해 어떤 얘기를 들려줄 것인지 궁금했는데 첫 번째 주자는 신라실에 있는 국보

제193호인 봉수모양 유리병이었다. 다른 전시에 차출되는 바람에 나도 삼고초려 이상을 해서야 겨우

볼 수 있었던 작품이었는데 이색적인 빛깔의 유리병으로 신라의 국제교류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서화실은 전시품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있어 아직 못 본 작품이 많은데 남계우의 '꽃과 나비'나 전 

김홍도 필 평안감사향연도 등은 이 책을 통해 만나게 되었다. 딱히 체계적으로 등장 순서가 있지는

않은 것 같은데 구석기실에 있는 주먹도끼나 신석기실의 빗살무늬 토기처럼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도

다루고 국내 최다 국내 소유처 답게 국보 제175호인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 제167호인 청자

신선모양 주자, 국보 제260호 분청사기 박지 철채 모란무늬 자라병 등도 등장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워낙 방대하고 뛰어난 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보니 모든 작품들을 다 기억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유명

작품들은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선 의외로 내가 봤는지조차 긴가민가하는

유물들도 등장시켜 좀 당황스러웠다. '황비창천' 글자가 있는 거울이나 청동 방울, 휴대용 묵호와 붓,

백자 청화 철제 산모양 연적, 집모양 토기 등이 여기에 해당했는데 국보나 보물 등 지정문화재나 유명

화가의 그림 등만 선호하다 보니 일상생활 유물들은 좀 소홀히 생각해서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된 것

같아 민망스러웠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대표 유물이라 할 수 있는 반가사유상으로 마무리를 하는데

그동안 국립중앙박물관을 무수히 드나들었지만 각 유물들의 작품성이나 가치에만 관심이 있었지 이

책의 저자처럼 자신의 삶과 연관시켜 감상에 빠져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다음부터 박물관에 갈 때엔

이 책의 저자와 같은 시선으로 유물들을 바라본다면 그동안 놓쳤던 새로운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