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을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 그리스신화에서 그리스도교까지
안계환 지음 / nobook(노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문명은 오랫동안 유럽이 중심이었다 보니 유럽을 제대로 이해해야 하는데 그 중심에는 그리스 

신화와 그리스도교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가 있다. 여러 책들에서 이 두 가지 키워드에 대한 여러

관점의 얘기들을 들려주었는데 이 책에선 과연 어떤 새로운 얘기들을 담고 있을지 궁금했다.


이 책에서도 유럽을 이해하는 두 가지 키워드에 각 두 장씩을 할애하고 있는데 먼저 그리스신화와 

관련해선 1장에서 그리스신화의 핵심 내용들을 소개하고, 2장에선 유럽을 만든 헬라인(고대그리스인)과

로마인에 대해 다룬다. 그리스신화는 관심이 많아 여러 책들을 읽어봐서 그런지 그다지 새로울 게 

없지만 이 책에선 유로화 동전으로 얘기를 시작한다. 유로화의 경우 지폐는 나라와 상관없이 동일하지만

동전은 나라별로 다른 도안을 사용한다고 한다. 네덜란드, 스페인 등 왕이 있는 나라는 왕의 얼굴이

등장하는데 그리스의 경우 2유로 동전에 황소 등에 올라탄 에우로페를 넣었다고 하니 유럽의 어원인

에우로페에 대한 정당한 대접이라 할 수 있었다. 신화를 압축해서 소개하면서 관련된 유적지들을 여행한

흔적들도 보여줘서 신화여행기라고도 할 수 있었다. 신화는 역사로 이어지는데 고대 그리스부터 로마

까지 서양문명의 토대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들려준다. 우리가 흔히 세계 7대 불가사의라고 부르는 

건축물들은 비잔티움 출신 철학자 필론의 '세계 7대 경관'이란 책에서 유래했다는데 7가지 놀랄만한

건축물이란 의미로 그중 헬레니즘 시대에 제작된 것이 네 개라고 한다. 오늘날 각광받는 파르테논 

신전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였으니 지금은 볼 수 없는 건축물들의 위용을 충분히 짐작해볼 수 있다.


두 번째 키워드인 그리스도교는 아무래도 내가 신자가 아니다 보니 생소한 내용이 많았다. 그 뿌리인

유대교부터 거슬러 올라가 종교개혁 시절까지를 다루는데 부활한 신의 아들이라는 컨셉을 헬라문화와

연결시켰다. 초기의 박해를 받던 시절을 거쳐 로마의 국교가 되면서 서양문명의 또 다른 중심축이 

되는데 마지막 4장에선 로마가톨릭교회의 탄생 이후인 중세의 교회를 본격적으로 다룬다. 모든 걸

지배했던 교회의 시대는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아성이 무너지기 시작했는데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작센의 선제후 프리드리히가 루터를 보호한 이유가 면벌부 판매로 자신의 영지에 있는 성물을 보러

오는 사람들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는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종교개혁으로 인한 가장 큰 변화로

성직자의 지위가 낮아졌고 결혼과 가정의 의미가 부각되었다는 점 등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잘 몰랐던

그리스도교의 역사 등을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그리스신화와 그리스도교가 유럽을 알기 위한

양대 산맥인 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둘 사이의 연결고리 등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여 이해의 폭을 좀 더 넓히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