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 동화 - Andersen's Fairy Tales 팡세미니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작 / 팡세미니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데르센은 그림 형제와 더불어 고전 동화의 양대 산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그의 작품을

어릴 때 안 읽어 본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은데 대부분 어릴 때 어린이용 동화책으로 보고 나선 성인이

되어 다시 그의 동화를 볼 기회는 드물 것이다. 아이가 있어 그의 동화책을 읽어 준다 하더라도 아이용의

그림책인 경우가 많을 것 같은데 오랜만에 어릴 적 기억을 떠올리며 내가 읽었던 안데르센 동화가 어른이

되고 나서도 같은 느낌이 들지 궁금해하며 이 책을 들었다.


첫 번째 작품은 '엄지공주'였는데 엄지공주는 책으로는 제대로 읽은 것 같진 않고 만화 등으로 본 

어렴풋한 기억만 있다가 이번에 읽어 보니 생소한 내용이 정말 많았다. 두꺼비한테 납치를 당해 두꺼비 

색시가 될 뻔 하지 않나 물고기들의 도움으로 겨우 탈출하지만 들쥐 아줌마네 집에서 지내다가 이번엔 

두더지와 울며 겨자 먹기로 결혼할 상황에 내몰린다. 파란만장한 상황을 겪은 끝에 해피엔딩으로 

마무리하는 엄지공주의 얘기는 역시 책으로 제대로 읽어야 그 맛을 알 수 있음을 잘 보여줬다. 다음으로 

등장하는 '미운 아기 오리'(내가 알던 제목은 미운 오리 새끼인데 표현을 순화한 듯)도 기본 내용은 

알고 있던 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지만 디테일에선 뭔가 다른 느낌이었다. '성냥팔이 소녀'도 희미한 

이미지만 남아 있다가 이번에 다시 제대로 내용들을 입력시킬 수 있었다. '인어 공주'는 이번에 읽어 

보니 정말 처절한 사랑의 얘기였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고, '벌거벗은 임금님'도 유머와 해학이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나머지 작품들은 본 듯 안 본 듯 약간은 생소한 작품들이었는데 '다섯 알의

완두콩'은 오 헨리의 '마지막 잎새'와 비슷한 느낌이었고 '도깨비는 무엇이 좋은가'는 다른 작품들과는

사뭇 다른 스타일의 작품이었다. 바보들에게 희망(?)을 주는 '바보 한스'나 마법같은 얘기를 담았지만

서로 다른 결말을 들려주는 '날아다니는 가방'과 '신기한 부싯길 돌'까지 안데르센의 동화 세계가 기존에

알던 것과는 훨씬 다채로움을 잘 보여주었다. 어릴 적 아동용으로 읽었던 안데르센의 동화를 어른이

되어 다시 읽으니 감회가 새로웠는데 이런 동화에 울고 웃던 때묻지 않았던 시절의 감성을 잠시나마

되살려보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