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의 건축에 관한 에세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우리는 사랑일까'를 통해

사랑에 대한 그의 박식하고 섬세한 글을 접했던지라

건축에 대한 그의 고견(?)이 어떠한지 궁금했다.

 

이 책에서 그는 건축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지금까지 있어 온 다양한 견해들을 총정리하고 있다.

우리가 세계사 내지 미술 시간에 배웠던 각종의 건축양식을 소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사실 이런 내용이 담겨 있을거라 생각했다.)

다양한 건축물과 거기에 담긴 건축가의 의도를

보통 특유의 맛깔스런 문체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다양한 건축물을 예시로 제시하며 흑백사진으로 보여주는데

컬러라면 더 실감이 낫겠지만 그러면 책값이 엄청 비싸겠지...

 

우리는 건축물에 대해 단순히 기능적인 면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면도 기대한다.

즉 비바람을 막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집뿐만 아니라

우리의 영혼을 위로해 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집도 기대한다.

존 러스킨의 말처럼 우리는 건물이 우리를 보호해주길 바라며

동시에 우리에게 말을 걸어주길 바란다.

말을 걸어주는 건물이라...너무 시적인 표현이다.

언젠가는 정말 말하는(?) 건물들이 등장하겠지만 현재로선 중경삼림의 양조위가 그랬듯

우리가 건물에게 말을 걸고 하소연을 해야한다.

집이란 공간은 특히 개인적인 공간이기에 우리는 그곳에서 완전히 무장해제를 당한다.

밖에서는 강한 척, 잘난 척, 각종 '척'들을 하며 자신을 무장하지만

집에 안기는 순간부터 우리는 아기처럼 칭얼대며 자신의 속내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그래서 집이 정말 말을 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들과의 대화가 즐거울 수도 있지만,

그들의 폭로(?)를 두려워 할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집은 우리의 모든 것을 알고 감싸줄 수 있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다.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노래도 있듯이

집이란 단어는 고향과 더불어 편안함을 주며 집은 우리 영혼의 안식처의 역할을 한다. 

 

이 책에서 보통은 집은 인간의 삶을 기억하는 저장소인 동시에 이상의 저장소라고 한다.

집은 그야말로 인간의 생사고락을 모두 지켜 보는 기억의 총화라 할 수 있다.

물론 요즘은 거의 병원에서 태어나고 병원에서 죽는 경우가 많지만

인간의 모든 희노애락을 집은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예전에 살던 집을 오랜만에 가게 되면

그곳에 살던 시절의 기억이 물밀듯이 밀려 오는 경험을 하게 된다.

한편 집은 이상의 저장소이기도 하다.

건물은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이상을 표현하기도 한다.

특히 우리가 관광지라고 하는 곳에 있는 유명 건축물들을 바라보며

그 아름다움에 대한 감탄과 함께 우리 맘의 눈높이를 한껏 키우게 되는 것은

바로 건물의 이러한 기능 때문인 것 같다. 

 

이 책은 건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관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건물이 투기의 대상이 되어 곧 돈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멋진 건축물들은 우리에게 단순한 재산 이상의 행복이라는 가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공간을 차지하며 늘 우리와 함께 하고 있는 건축물들에게서    

우리가 행복을 느낄 수 있고, 만들어 갈 수 있는 것,

이것이 바로 보통이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메세지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