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발의 세계사 - 왜 우리는 작은 천 조각에 목숨을 바치는가
팀 마샬 지음, 김승욱 옮김 / 푸른숲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를 대표하는 국기를 비롯해 각종 조직에는 자기 조직을 상징하는 깃발들을 가지고 있다. 올림픽

등 국가대항전에선 국기만 봐도 어느 나라 선수인 줄 대강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국기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의 깃발의 역사만 따로 정리한 이 책은 그동안 제대로 몰랐던 깃발에 얽힌 우여곡절과 흥미진진한

사연들을 담고 있어 단순한 천 조각이 아닌 목숨까지 바치게 만드는 깃발의 위력을 제대로 알게 해준다.


이 책에선 주로 국기들을 다루면서 중요한 단체들의 깃발도 함께 살펴본다. 아무래도 저자가 영미권

출신이다 보니 성조기와 유니언 잭부터 자세히 다룬 후 유럽, 아랍,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순으로 세계 일주를 시작한다. 성조기의 원형은 1760년대 중반 보스턴 차 사건 때 '자유의 

아들들'이란 단체가 사용한 깃발에서 따온 것으로 보는데 본격적인 모습은 독립선언에 함께 한 13개

주를 상징한 '콘티넨털' 또는 '그랜드 유니언'이란 깃발이 토대가 된 것으로 본다. 미국도 남북전쟁을

치르는 등 분열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남부연방기 등이 존재했는데 이런 깃발들이 특정 지역 등을 

대변하는 깃발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영국의 국기인 유니언 잭은 더 복잡한데 기본적으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깃발이 합쳐진 것이다. 잉글랜드는 유니언 잭에도 애정이 있지만 나머지 지역들은 그다지

국기에 대한 애정이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스코틀랜드의 독립 추진이나 북아일랜드 문제 등 여러 갈등

요인들이 잠복 중이어서 유니언 잭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웨일스는 유니언

잭에 전혀 반영이 안 된 용 그림이 있는 깃발인 점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유럽의 깃발들은 프랑스의 삼색기를 필두로 한 색깔이나 방향만 다른 삼색기 유형들과 북유럽 국가들과 

같이 십자가를 바탕으로 한 국기들로 나눌 수 있었다. 서유럽쪽은 비슷비슷한 국기들이 많은 반면

동유럽쪽에는 각 나라마다 특유의 문양이 들어간 경우가 많았다. 중동 지역은 이슬람 국가들이 많다

보니 초승달과 별이 들어간 국기나 아랍 반란 깃발을 변형한 국기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 책에서는

IS, 헤즈볼라, 하마스의 깃발까지 소개한다. 아시아 지역 국기에는 태극기도 당연 포함되어 있었는데

일본의 경우 욱일기는 나치의 상징과는 달리 봐야한다는 주장을 늘어놓는다. 일본이 나치처럼 하나의

민족 자체를 체계적으로 없애려고 하지는 않았고 욱일기는 나치 깃발과 달리 아시아지역을 유린하기

이전부터 존재했었다면서 욱일기를 사용하지 말라는 주장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궤변이라 일제의 만행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서양인의 관점이 전형적으로 드러난 것 같았다. 아프리카나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국기들은 유명한 몇 나라를 제외하곤 잘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 그 속에 담긴 역사와 의미를 알 수 있었고

마지막으로 '좋은 깃발, 나쁜 깃발, 못생긴 깃발'에선 해적의 상징인 졸리 로저를 비롯해 적십자기,

나토, 올림픽기, 유엔기 등을 다루며 마무리한다. 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 책에서 다루는 깃발들을

중간쯤에 모아놓아서 바로바로 볼 수 없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인데 아마 비용 문제로 컬러 도판을 일부만

사용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암튼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제대로 몰랐던 대부분의 국기와 주요 단체들의

깃발의 역사와 의미를 알 수 있게 되어 좋았는데 다른 나라나 단체의 깃발에 담긴 의미를 아는 것도

상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잘 알려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