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 최신 언어로 읽기 쉽게 번역한 뉴에디트 완역판, 책 읽어드립니다
혜경궁 홍씨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도세자의 비극과 정조의 즉위, 독살설 등은 조선시대를 다룬 드라마 등 여러 콘텐츠에서 자주 등장하는

얘기여서 친숙한데 여전히 그 진실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 특히 이덕일의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를 

보면 사도세자가 결코 미친 게 아니라 사도세자를 미치광이라고 증언한 그의 부인이자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가 지은 이 책 '한중록'이 단순히 자신의 한 많은 삶을 하소연하는 책이 아닌 친정을 

비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쓴 책이라고 고발했다. 그렇다 보니 이 책에 과연 어떤 내용들이 담겨있을지

궁금했는데 총 6권으로 나눠 혜경궁 홍씨의 파란만장한 일대기와 그녀의 집안에 대한 변명이 가득 

담겨 있었다.


제1권에서 제3권까지는 저자가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가 시아버지 영조와 남편 사도세자 사이의

불화 속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계속하다가 결국 남편이 뒤주에 갇혀 죽는 참담한 사건이 일어나기

까지의 과정을 서술한다. 명문가라 할 수 있으나 당대에는 가문이 번창하진 않았는데 저자가 세자빈이

되면서 이후 부친인 홍봉한이 과거에 급제도 하여 점차 외척으로 가문이 흥하게 된다. 문제는 사도세자와

영조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였다는 데 있었는데 저자도 영조가 화평옹주 등을 극진히 사랑하는

것과 달리 사도세자에 대해선 그리 애정이 없고 엄하게만 대하다 보니 사도세자도 영조를 무서워해서

점점 사이가 벌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도세자가 미친 게 영조 탓이 크다는 점을 은연 중에 적고 있는데

효장세자를 잃고 어렵게 얻은 아들에게 영조가 왜 그렇게 대했는지는 좀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화평옹주 등 딸을 대하는 태도와는 너무 달라 아무리 딸바보(?) 아버지라 하지만 하나밖에 없는 아들에

대한 냉정한 태도는 무수리 소생으로 가까스로 왕이 된 자신의 자격지심에서 비롯된 게 아닌가 싶다.

암튼 이 책에선 사도세자가 광증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을 무참히 살육하는 등 살얼음판을 걷는 날들이

연속되다가 종사을 위해 사도세자의 모친 선희궁이 영조에게 사도세자의 잘못을 직접 고하고 분노한

영조가 결단을 내려 참극이 벌어진 것으로 서술한다. 자신도 같이 자결하려 했지만 세손을 위해 차마

그럴 수가 없었다는 혜경궁 홍씨의 얘기를 사실 그대로 믿는다면 정말 그녀의 처절한 삶이 애달프다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대해선 골수 노론 집안인 친정에서 소론과 손을 잡은 사도세자를 몰아내기 위해

사도세자를 모함했고 혜경궁 홍씨도 친정편을 들어 사도세자의 죽음을 방치했다는 주장도 있다.


전반부가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경험담과 심경을 서술했다면 후반부는 철저하게 자기 친정의

비호와 변명으로 일관한다. 부친인 홍봉한과 작은 아버지 홍인한, 동생 홍낙임이 억울하게 누명을

썼다고 계속 강변하는데, 부친 홍봉한은 사도세자가 죽을 때 뒤주를 들여놓았다는 의혹을 받았고

홍인한은 세손 정조의 대리청정이나 그가 즉위하는 걸 방해했다는 죄로 정조가 직접 죽였던 인물이다.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의 오빠 김귀주와 화완옹주의 양자 정후겸, 정조의 오른팔 노릇을 했던 홍국영

등이 모함을 했다거나 오해라고 주장하면서 정조도 모두 잘못된 일임을 이해했고 순조가 임금이 되면

억울함을 풀어주기로 했다면서 나름 여러 가지 증거들을 들고 있는데 과연 어디까지 믿을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이 책에서 너무 자화자찬식으로 자기 친정을 비호하면서 친정 사람들에겐 거의 아무런

잘못이 없다고만 주장하고 있는데 당시 노론의 중심이었던 친정이 사도세자의 죽음이나 정조의 즉위를

방해한 것과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 싶다. 저자는 사도세자가 미쳐서 영조가 죽이지 않을 수

없었다는 쪽으로 몰고 있으나 설령 자식이 미쳤다고 해도 죽일 필요까지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사도세자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자들이 정조가 왕이 되는 걸 꺼려 하는 게 당연지사이니 일련의 사태에

저자의 친정이 전혀 아무런 관여를 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렵고 보통 정상적이면 사도세자나 정조

편에서 목숨을 걸고 투쟁을 하는 게 더 자연스러운데 방관자로 일관한 것 자체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 않나 싶다. 암튼 한중록에 기록된 내용들이 어디까지가 진실인지는 쉽지 단정하기가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이 책으로 인해 당시의 상황을 좀 더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궁중의

여인이 남긴 궁중문학으로서의 가치는 독보적이라 할 수 있는데 혜경궁 홍씨라는 실존 인물의 인생을 

보면 그야말로 파란만장하다는 단어가 딱 맞는다고 볼 수밖에 없다. 왕세자와 결혼하여 미래가 보장된

인생이었다가 남편이 시아버지에게 죽임을 당하면서 하루 아침에 목숨조차 어떻게 될 것인지 모르는

벼랑 끝 상황을 내내 겪으면서도 끝까지 살아남아 결국 이 책을 남겼으니 그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그녀가 겪었을 시련과 고통의 나날들은 부인하기 어려울 것 같다. 아들이 가까스로 왕이 되었음에도

친정이 풍비박산 나는 상황을 보아야 했던 한 여자의 원통함이 절절히 담겨 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