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돈
안계환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있어 돈에 대한 욕망은 삶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장대한 역사 속에 일어난 각종 사건들도 어떻게 보면 돈에 대한 욕망이 원인이 

된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책은 돈에 대한 욕망이 역사를 움직임 흥미로운 사례

들을 동서양을 넘나들며 살펴본다.


먼저 마라톤 경기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페이피데스가 마라톤 평원에서의 승전보를 전하기 위해 

달렸다는 얘기로 시작하는데 실은 혼자서 승전보를 전하기 위해 달린 것이 아니라 아테네군 전부가

구원요청을 하기 위해 이동한 것이라며 올림픽 대회 흥행을 위해 만들어진 신화라고 말한다.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유물인 파르테논 신전도 아테네가 델로스동맹 도시들로부터 착취한 돈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하니 화려한 자태의 이면의 숨겨진 피와 땀의 역사를 알 수 있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페르시아 정복에 나선 것도 황금을 약탈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로마의 대표 유적지 콜로세움도 유대인

피와 땀으로 건설된 것이었고, 로마는 전리품으로 국가 운영을 했기에 계속된 정복 전쟁이 필요했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의 교회개혁도 기독교를 인정한 것이 아니라 이용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중국 최초의 통일제국을 건설한 진시황은 돈과 곡식과 소금으로 천하를 통일했다고 하고, 이후 다시

중국을 통일한 한나라도 북방 민족과 전쟁을 하기보다는 돈으로 평화를 사는 쪽을 택했으며 칸이 되기에

불리한 위치에 있던 쿠빌라이는 경쟁자의 돈줄을 막아 승리했다. 돈의 힘은 종교보다도 더 당하다고

할 수 있는 사례들이 적지 않은데 십자군 전쟁도 사실 종교적 이유보다는 돈이 더 크게 작용했고,

급기야 교회가 면죄부(이 책에선 면벌부가 정확한 표현이라 함)를 팔아 장사하는 지경에 이른다.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었던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은 교황의 전담 거래 은행을 맡으면서 부를 축적했고,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 중에선 다방면에 재주와 호기심이 많아

고객의 주문을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했던 다빈치에 비해 미켈란젤로가 돈을 훨씬 더 잘 벌었다고 한다.

세기의 이혼으로 유명한 헨리 8세의 교회개혁도 사실 교회 재산 압수에 더 큰 목적을 두고 교황청과

결별하였고, 노예가 역사상 가장 많이 취급된 상품으로 링컨의 노예해방 역시 북부의 경제적 상황이

큰 이유로 작용했다. 인간이 하는 대부분의 행동의 이면에는 돈이 숨어 있음을 부인하기가 쉽지 않은데

우리가 그동안 배워 온 역사는 적나라하게 돈이 이유라고 얘기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이 책은 차마

말하기 좀 그랬던 역사적 사건들의 배후에 자리하고 있던 돈의 위력을 다양한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잘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