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미학 1 : 메이드 인 코리아의 기원
최경원 지음 / 더블북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국립중앙박물관을 자주 다니게 되면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훨씬 높아졌다. 물론 아직까진 주로

특별전시 위주로 봐서 국립중앙박물관 내에 있는 수많은 유물들을 제대로 다 보지 못했지만 꾸준히

다니다 보면 소장 유물들을 대부분 관람할 날이 언젠가 올 것 같은데 아무래도 가이드 없이 그냥 막

감상하다 보니 사실 제대로 작품들의 가치를 이해했다고는 하기 어렵다. 이 책은 요즘 열풍(?)인 한류의

기원을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유물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1권에선

통일신라 시대까지의 유물을 다룬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통일신라와 발해를 다룬 1층 좌측 라인의

전시실들은 다 둘러봤고 선사 시대부터 삼국 시대를 다룬 1층 우측 라인 전시실들은 얼마 전에 백제실만

봐서 이 책이 앞으로 가볼 전시실들의 유물 감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시대순으로 유물들이 등장하는데 첫 주자는 주먹도끼가 차지했다. 예전엔 타제석기니 마제석기니 하는

용어를 쓰다가 요즘에는 뗀석기, 간석기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 주먹도끼는 별것 아닌 것 같아

보여도 상당히 정교하게 만들어져 부위마다 자르기, 뚫기, 밀기의 기능을 갖춰 구석기 시대의 맥가이버

칼이라고 부를 만했다. 빗살무늬토기는 이름 그대로 무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지만 역삼각형

구조로 모래밭에 쉽게 세울 수 있는 게 특징이라 할 수 있었다. 흔히 비파형 청동검으로 불리는 청동검은

우리 역사 최초의 양식성을 지닌 유물이라 할 수 있었고, 삼한 시대의 오리 모양 토기는 단순화를 통해

표현되는 추상성으로 피카소까지 소환했다. 이렇게 우리의 대표적인 유물들을 조형과 미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의미를 부각시키니 그동안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유물들의 진면목을 새롭게 발견하게 

되었고 유물 감상의 재미를 배가시켰다. 교과서에서만 보던 유물들이 차례로 등장해 다시 국사 공부를

하는 느낌도 들었는데 무령왕릉 금관부터 백제의 유물들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얼마 전에 직접 본 

것들이라 더욱 감회가 새로웠다. 이 책을 보고 나서 봤다면 더 많은 걸 보고 느꼈을 것 같아 좀 아쉬움이

남았지만 다음에 다시 볼 기회가 있지 않을까 싶다. 박물관에서 봤던 백제 전돌은 벽돌이 아닌 보도.

블록이라고 해서 좀 놀랐는데 박물관의 설명에도 없던 내용이라 기존에 알던 지식을 새로 업데이트

해야 할 것 같았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박물관에서 그냥 지나쳤을 유물들의 또 다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아무래도 조형과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다 보니 일반인들은 알아채지 못한 미학적 측면을

재발견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게다가 저자가 유물들의 세부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서 더 알기 쉽게

설명을 해줘서 좋았던 반면 실제 유물 사진이나 보관된 장소를 알려주지 않아 직접 찾아가서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부분은 좀 아쉬웠다. 그래도 선사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30개의 

대표 유물들을 통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새삼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고 유물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한층 깊게 만들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