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 -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다마키 도시아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사의 중심축이 어디에 있느냐는 점에 대해선 각자 생각이 다를 수 있겠지만 비교적 최근인 20세기

까지 유럽과 미국이 주도했다는 점은 별다른 이견이 없을 것 같다. 이 책은 경제사를 중심으로 인류의

긴 역사에서 세계사의 중심축이 어떻게 이동했는지에 대해 흥미로운 의견을 제기하고 있는데 기존에

지배적인 견해들과는 사뭇 다른 부분들이 있어서 신선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이 책의 저자는 인류가 지금까지 세 번의 커다란 글로벌리제이션을 경험했다고 하면서 호모에렉투스가

유라시아 대륙으로 퍼져 나간 것을 제1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호모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나와 세계

각지로 뻗어 나간 것을 제2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유럽의 대항해시대를 제3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정리한다. 2차, 3차는 충분히 공감할 수 있었지만 1차는 좀 의외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흔히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문명을 세계 4대 문명이라고 하는데 저자는 여기에 양자강, 메소아메리카

문명을 추가해 세계 6대 문명이라고 칭힌다. 메소아메리카 문명을 제외한 나머지 문명들이 전파되어 

인류의 문명이 세계 곳곳으로 확산되었는데 저자는 인류에게 정착 생활이 과연 이로웠는지 하는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보통은 수렵 생활을 하다가 농경 생활을 하면서 인류 문명이 더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수렵 생활에서 부족함이 없었음에도 농경 생활을 선택하면서 오히려 농경 초기엔

수렵 생활보다 더 힘든 삶을 살았다고 한다. 농경 생활로 빈부 격차, 계급 발생, 성 차별, 질병 확산 등

각종 문제가 발생했음에도 인류는 농경 생활을 선택하면서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한다. 이후 중국을 통일한 진나라부터 한, 당, 송, 원에 이르기까지 세계사의 중심축이

동아시아에 있었다고 얘기하는데 당시의 경제력이나 문명 수준으로는 고대 로마 정도를 제외하곤

유럽이 상대가 안 되었다. 이슬람 세계에 막혀 아시아와의 무역이 어려워지자 새로운 항로를 찾기 위한 

대항해시대가 시작되면서 유럽 제국들이 아메리카를 식민지화하며 부를 축적하기 시작하자 중심축이

유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구텐베르크 혁명을 발판으로 표준적인 상업안내서가 만들어지는 등

상업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게 되는데, 무역과 상업에 그다지 관심이 없던 동아시아를 추월하는 건

필연적인 결과라 할 수 있었다. 산업혁명으로 기술력까지 갖추면서 유럽의 일방적 우위가 계속되는데

영국과 미국이 주도하는 자본주의가 계속되다가 일본을 필두로 동아시아 국가들이 다시 경제력을

회복하기 시작하면서 아시아가 재부흥의 시기를 맞게 된다. 유럽, 미국의 서양축과 중국, 일본의 

동양축 사이를 세계 경제가 어떻게 이동하였는지를 잘 보여주었는데 방대한 인류 역사를 간명하면서도 

조금은 색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