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의 탄생 - 신의 선물인가 뇌의 습관인가
칼라 스타 지음, 장석훈 옮김 / 청림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아무리 재능이 있고 열심히 하는 사람도 운이 좋은 사람에게는 당할 수가 없다고 하는데 운이 

성공의 가장 결정적인 원인인지는 모르겠지만 행운 또는 불운이 모종의 역할을 한다는 것도 부인할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운이 좋기만을 바라고만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인데 이 책은 운이 

그저 신이 주는 선물이 아닌 준비하는 자에게 부여되는 일종의 노력의 대가라고 얘기하면서 뇌과학을 

바탕으로 10가지 행운의 비밀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첫 번째 얘기는 타투 경연대회에서 심사 순서가 순위를 결정한다는 조금은 놀라운 얘기를 들려준다. 

우리의 뇌는 게으르고 기억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장 나중에 하는 게 유리했고, 처음에 심사

대상인 사람은 비교 기준 자체가 없기 때문에 아무리 잘해도 최고점을 받기는 어려워(나중에 나올 

수 있는 사람을 위해 보통 최고 점수를 주는 건 아끼니까) 상당히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심사 순서는 보통 본인 마음대로 정할 수 없는 문제이니까 그야말로 운에 맡길 수밖에 없는데 

요즘 흔히 말하는 금수저 등이 아닌 보통 사람의 입장으로선 결국 할 수 있는 게 좋은 인상을 주는 

것, 다른 사람이 신뢰를 하는 사람과 닮았다거나 긍정적인 이미지와 자신을 연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했다. 첫인상이 중요하다는 거나 미모의 영향력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는데 미모와 관련한 예로는 미 대선 공화당 부통령 후보로 나섰던 세라 페일린을 

예로 든다. 외모는 단순히 상대의 호감을 사는 것 이상으로 스스로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데 행운을 잡기 위해서는 먼저 그럴 수 있다고 믿는 자신감이 필요하다. 이 책의 표현으로

'이 건 안 될 거야'가 아닌 '이런 것쯤이야'라는 구슬을 가득 가지고 있어야 행운이 찾아오게 되는데,

행운은 준비한 자의 것이라고 자신에게 찾아온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만반의 상태가 되어야 행운을 

놓치지 않음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주었다. '마시멜로 이야기' 에서 배웠던 참을성과 행운의 기회를 

연결시켜줄 사회적 관계, 자신에 대한 믿음과 투자, 항상 호기심을 갖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라는 어떻게 보면 다른 책들에서 많이 주문하는 얘기들을 만나볼 수 있었다. 사실 운이라는 건 

정말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변수이긴 하지만 운도 사실 아무에게나 주어지는 게 아니라 그 가능성에 

대해 열린 자세로 늘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에게 허락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