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 플라톤의 대화편 현대지성 클래식 28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크라테스는 서양 철학의 시조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서양의 사상세계에 있어 그의 존재감은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예수, 석가, 공자와 더불어 세계 4대 성인으로 언급되는 지경이니

소크라테스를 논하지 않으면 서양 철학의 역사를 얘기할 수 없다고 해도 될 것 같다. 그런 소크라테스의

언행은 대부분 그의 제자인 플라톤이 남긴 저서들을 통해 전해져오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그 중에서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파이톤', '향연'의 네 작품을 싣고 있다. 그동안 소크라테스와 관련해

단편적인 내용들은 여러 책들을 통해 만나봤지만 원전을 직접 읽기는 처음이라 과연 고전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을지 기대가 되었다.

 

먼저 '소크라테스의 변명'은 불경죄와 청년들을 부패시킨 죄로 고발되어 재판을 받으면서 자신에

대한 고발에 대한 변명 아닌 변명을 하는 내용을 보여준다. 500명의 배심원의 재판으로 진행된 재판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에 대한 고발에 대해 본인 입장을 얘기한다. 총 세 차례 변론을 하게 되는데 1차는

유무죄 여부에 대해서, 2차는 유죄 평결이 난 후 양형에 대해서, 3차는 사형선고가 확정된 이후의 변론으로 정말 어처구니없는 억울한 기소에 대해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어떤 답변을 하는지가 흥미롭게

그려진다. 자신보다 더 지혜로운 사람이 없다는 신탁을 듣고 나서 지혜롭다고 하는 사람들을 찾아가

보지만 정작 그들과 얘기를 나눠보면 금방 그들이 지혜롭지 못하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만다. 결국

소크라테스는 신탁에서 자신을 가장 지혜롭다고 한 이유가 지혜에 관해 실제로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자신밖에 없어서 그런 판단을 받은 것을 알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소크라테스는

질문을 해대며 괴롭힌 사람들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어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누명을 쓰게 되는데

요즘에도 소크라테스처럼 행동하고 다니는 사람이 있다면 그다지 좋은 소리를 듣지는 못할 것 같다.

암튼 이성과 논리로는 소크라테스를 당할 자가 없지만 사람은 감정의 동물이기에 소크라테스가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기소에 대해 반박을 함에도 대략 찬성 280대 반대 220의 비율로 유죄평결이

나고 만다. 유죄까지는 그렇다 해도 형량을 사형으로 하면 보통 사람이면 어떻게든 살기 위해 

발버둥을 치기 마련이겠지만 소크라테스는 결코 목숨을 구걸하지 않고 당당하게 맞서고 사형선고를

받은 후 마지막 변론에선 오히려 죽음이 좋은 일이고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태도를 보인다. 자신의

목숨이 달린 상황에서도 의연하고 당당하게 대처하는 소크라테스의 면모는 다음 작품은 '크리톤'

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사형집행을 앞두고 절친인 크리톤이 탈옥을 권하자 우리가 아는 것처럼 '악법도 법이다'라고 직설적으로 얘기하진 않지만 자신이 왜 법을 지킬 수밖에 없는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파이돈'은 '영혼불멸'이라는 쉽지 않은 주제를 다루고 있어 좀 난해한 느낌이 들었고,

마지막 '향연'은 흔히 남녀가 원래는 하나였다가 쪼개져서 서로를 그리워하게 되었다는 가설의

진원지임을 알 수 있게 해주었는데 남녀 외에도 남녀추니라는 자웅동체(?)의 세 가지 성이 존재

했다는 흥미로운 얘기를 들려준다. 이렇게 아름다움과 결핍, 사랑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펼쳐지는데

당시 동성애가 흔해서 그런지 동성애를 옹호하는 듯한 내용과 함께 소크라테스가 아무리 술을 마셔도

흐트러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최고의 주당(?)임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파이돈' 외에 나머지 세

작품은 대략의 내용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역시 원전을 읽어 보니 그 의미가 남달랐다. 왜 고전을 

제대로 읽어보라고 하는지를 새삼 깨닫게 되었는데 소크라테스라는 성인의 반열로 대접을 받는

인물의 사상과 삶을 잘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