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가 []

요약
법치주의를 제창한 중국의 정치 사상가.

 

본문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한 유파로 그 계통을 이은 일군()의 정치 사상가에 대한 총칭이다. 특히 유가() 사상과의 대립 ·항쟁 과정에서 발달하였으며, 전국시대의 전제적 지배를 지향한 군주에게 채용되어, 진() ·한()나라의 통일제국 성립을 뒷받침한 중요한 사상이 되었다. 《한서()》 <예문지()>에 의하면, 신상필벌()의 질서 있는 정치를 주장한 장점이 있고, 오로지 형법()에 의거하여 때로는 육친의 정까지도 저버린 것이 단점이라는 평도 있다. 위()나라의 문후()를 받들어 부국강병의 실적을 올린 이회(悝:BC 455?∼BC 395?), 진()나라의 재상으로 국내개혁을 달성한 상앙(鞅:?∼BC 338), 저서를 통하여 진시황()을 감탄시킨 한비자(:?∼BC 233), 진() 통일제국의 기초를 구축한 이사(:?∼BC 210), 전한()의 중앙집권화에 힘쓴 조조(鼂:?∼BC 154), 무제() 때의 유능한 경제관료 상홍양(:?∼ BC 80) 등이 법가의 대표자들이다. 현대에 와서 중국은 유가들이 노예주인 귀족층의 세습적 권리를 옹호한 것에 대하여, 법가들은 새로운 봉건 지주계급을 대표하여 국내통일에 공헌하였다는 평가를 한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