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 장자(:)의 저서.
저자 장자
시대 중국 전국시대
본문

당나라 현종()에게 남화진경()이라는 존칭을 받아 《남화진경()》이라고도 한다.

내편() 7, 외편() 15, 잡편() 11로 모두 33편이다.

그 중 내편이 비교적 오래되었고 그 근본사상이 실려 있어 장자의 저서로,

외편과 잡편은 후학()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추측된다.

장자는 노자()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그의 사상의 밑바탕에 동일한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진()의 시황제() 분서()의 화를 입기도 하고, 한() 때 분합()·재편성되기도 하다가

진()의 곽상() 이후 오늘의 33권으로 정해졌다.

이 곽상주()가 완본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본자료이다.

그 후에도 당()나라 성현영()의 《주소()》,

송()나라 임희일()의 《구의()》 등 많은 주가 나왔다.

《장자》의 문학적인 발상()은 우언우화()로 엮어졌는데,

종횡무진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본체()·근원(), 물화현상()을 설명하였고,

현실세계의 약삭빠른 지자()를 경멸하기도 하였다.

그의 심현한 철학사상서이자 우수한 문학서인 이 《장자》는 위()·진() 때에 널리 읽히고

육조시대()까지 그 사상이 유행하였다.

양()나라 도홍경()이 그를 진령()이라 하여 제3급에 올렸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