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중국의 사상가 노자()가 지은 것으로 전하는 저서명.
저자 노자()
본문

노자()》 또는 《도덕경()》이라고도 한다. 약 5,000자, 상하 2편으로 되어 있다.

성립연대에 관해서는 이설()이 분분하나, 그 사상 ·문체 ·용어의 불통일로 미루어

한 사람 또는 한 시대의 작품으로 보기는 어렵다.

BC 4세기부터 한초()에 이르기까지의 도가사상의 집적()으로 보여진다.

선진시대()에 원본 《노자》가 있었던 모양이나, 현행본의 성립은 한초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그 후 남북조시대()에 상편 37장, 하편 44장, 합계 81장으로 정착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노자 사상의 특색은 형이상적()인 도()의 존재를 설파하는 데 있다.

‘무위()함이 무위함이 아니다’라는 도가의 근본교의, 겸퇴(退)의 실제적 교훈,

포화적() 자연관조 등 도가사상의 강령이 거의 담겨 있어 후세에 끼친 영향이 크다.

《노자》는 흔히 말하는 도()가 일면적 ·상대적인 도에 불과함을 논파하고,

항구 불변적이고 절대적인 새로운 도를 제창한다.

그가 말하는 도는 천지()보다도 앞서고, 만물을 생성하는 근원적 존재이며,

천지간의 모든 현상의 배후에서 이를 성립시키는 이법()이다.

다시 말하면, 대자연의 영위()를 지탱하게 하는 것이 도이며, 그 도의 작용을 덕()이라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도와 덕을 설파하는 데서, 《노자》의 가르침은

도덕(오늘날의 도덕과는 다름)으로 불리어 《도덕경》이라는 별명이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노자사상의 중심은 오히려 정치 ·처세의 술()로서의 무위를 설파함에 있고,

형이상적인 도의 논설은 그 근거로서의 의미를 지님에 불과하다.

노자는 하는 일만 많으면 도리어 혼란을 초래하고, 공을 서두르면 도리어 파멸에 빠지는 일이

흔한 세상에 비추어, 오히려 무위함이 대성()을 얻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우선 의도하는 바는 아무런 작위()가 없고,

게다가 그 공업()은 착실절묘하다고 설파하였다.

이 도를 본으로 하여 무위함에서 대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파하며,

이 점에서 형이상의 도와 실천적인 가르침이 관련된다.

무위의 술()이란 구체적으로는 유약 ·겸손의 가르침이 되고, 무지 ·무욕의 권장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징으로서는 물[] ·영아(嬰). 여성에의 예찬이 된다.

유가가 말하는 인의예악()이나 번잡한 법제금령()은 말세의 것으로 배척하고,

태고()의 소박한 세상을 이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그 가르침은 궁극적으로는 세속적인 성공을 쟁취하는 데 있었다.

따라서 그 논법에는, ‘도는 언제나 무위하면서도 무위함이 아니다’ ‘대공()은 졸()함과 같다’ ‘

그 몸을 뒤로 하여 몸을 앞세운다’와 같이 역설()이 많은 점이 두드러진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