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날 갑자기 사람들이 눈이 멀기 시작한다.

한 두 명에서 시작한 이 현상은 전염병처럼 급속도로 전 도시에 퍼지게 되고

처음 발병한 사람들을 격리시킴으로써 이 병을 진압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

정부의 계획은 금새 물거품이 되고 마는데...

 

시각은 인간에게 있어서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각종 장애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견디기 힘든게 바로 시각장애인이 아닐까 싶다.

다른 감각기관이나 사지에 장애가 있으면 불편하긴 해도

그럭저럭 살아갈 수 있을 듯한데 볼 수 없다면 도무지 대책이 안 선다.

그래도 나 혼자 볼 수 없으면 볼 수 있는 가족이나 친구들의

도움을 받으며 삶을 유지해 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눈을 멀게 된다면 그 아비규환의 상황이 어떨지 이 책은 잘 보여주고 있다.

그야말로 아무런 통제가 불가능한 무정부상태, 원시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더 이상 생산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어

지금 존재하고 있는 한정된 자원 속에서

인간이 만들어 낸 문명이니 이성이니 하는 것들이

얼마나 보잘 것 없이 무너져 내릴 수 있는 것인지 이 책은 잘 보여주고 있다.

 

온 세상이 눈 먼 가운데 유일하게 눈 멀지 않은 의사의 아내

그녀는 행운인지 불행인지 혼자서 눈이 멀지 않게 된다.

그래서 남편을 비롯한 눈 먼 자들의 손과 발이 되어 그들의 삶을 이어가게 해 주지만

눈 뜨고는 못 볼 끔찍한 만행과 지옥같은 세상을 혼자서 다 보게 된다.

오이디푸스처럼 정말 자신의 눈을 찌르고 싶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녀는 그녀에게 의지하는 사람들을

결코 버리지 않고 그들의 구원자 역할을 성실히 수행한다.

나같으면 결코 그러지 못했을 것 같다.

장애인인 자식이나 병든 노부모를 학대하고 내 버리는 세상에

자신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사람들의 목숨까지 책임지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지는 못할 것이다.

 

우리는 흔히 돈과 권력, 또는 여자에 눈이 멀었다는 표현을 쓴다.

마지막에 의사 아내가 말하듯 우리는 눈은 뜨고 있지만 보지 못하는 눈 뜬 장님인지도 모른다.

정의와 진실이 뭔지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한다.

이게 눈 뜬 장님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환상적 리얼리즘의 대표적인 작가로 노벨상까지 수상한 주제 사라마구의 이 작품은

문장 부호도 없이 끊임없이 나열되는 문장으로 인해

집중하지 않으면 누가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정도다.

흔히 눈 앞이 깜깜하다고, 눈이 멀면 온통 세상이 까맣게만 보일 듯한테

이 책 속의 실명은 온통 세상이 하얗게 보이는 점도 독특한 설정이라 아닐 수 없다.

형식과 내용에서 모두 독자를 거의 실명 상태로 몰고 간다. ㅋ

이 책은 눈을 멀쩡히 뜨고도 눈을 감은 척 진실과 정의를 외면하면서 살고 있는

마음이 실명 상태인 현대인들의 모습을 통렬히 풍자하는 역작이라 할 수 있다. 

 

매일 밤 우리는 눈을 감고 매일 아침 눈을 뜬다.

매일 밤 난 잠자리에 들면서 눈을 감을 때 이 책이 불쑥 생각난다.

아침에 일어나면서 눈을 뜰려는 찰라 다시 이 세상을 볼 수 있게 될 것인가 하고...

그리고 눈이 멀지 않았다면 눈만이 아니라 다른 것들도 멀지 않기를 기원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