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895년(고종 32)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가 주동이 되어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일본세력 강화를 획책한 정변.

 

본문
경복궁 명성황후 조난비 /

갑오개혁을 통하여 깊숙이 조선 내정에 관여하게 된 일본은 청일전쟁에 승리한 뒤 박영효(김홍집()을 중심으로 한 친일내각을 만들어 세력확장에 힘을 기울였다. 이때 프랑스·러시아·독일 등 3국은 일본의 대륙침략 저지를 위해, 청일전쟁의 승리로 일본이 차지한 랴오둥반도[]를 청국에 반환할 것을 요구한, 이른바 '삼국간섭'으로 일본의 세력확장에 제동을 걸었다. 그동안 일본의 강압하에 내정개혁을 추진한 조선정부는, 러시아공사 K.베베르와 제휴하고 친일세력의 완전 제거를 위하여, 1895년 9월 6일 왕비시해 음모혐의로 전 내무대신 박영효에 대해 체포령을 내려 정계에서 축출하였다.

이미 8월에 민영환()을 주미전권공사(使)로 등용한 동시에, 친일계인 어윤중(김가진() 등을 면직시키고 이범진(이완용() 등의 친러파를 기용하여, 제3차 김홍집내각이 성립되어, 친미·친러세력이 우세하였다.

더구나 주한일본공사 이노우에 가오루[]가 조선정부에 약속한 증여금 300만 원을 일본정부가 제공하지 않자, 조선정계에서는 배일세력이 증가하였다. 이에 일본측은 이노우에 대신 무인 출신 미우라를

주한일본공사로 파견하였다. 조선정부는 일본의 강압에 따라 제정한 신제도를 구제도로 복구하려고, 일본인 교관이 훈련시킨 2개 대대의 훈련대도 해산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하여 미우라는 명성황후시해계획을 세우고, 1895년 10월 2일 하수인으로서 한성신보사()에 있는 낭인()을 이용하고자 사장 아다치[]를 공사관으로 불러

6,000원의 거사자금을 주고 왕비시해의 전위대로 삼아, 공덕리() 아소정()에 있는

흥선대원군을 궁중으로 호위하는 일을 담당시켰다. 그 외 일본군수비대와 일본인 거류지 담당경찰관 및 친일조선인까지 동원할 계획을 세우고, 훈련대의 우범선(이두황()·이진호() 등 3대대장과 전 군부협판() 이주회()를 포섭하였다.

한편 정부에서는 군부대신 안경수()를 일본공사관에 보내어 훈련대해산과무장해제,

민영준(駿)의 궁내부대신 임명을 통고하였다. 일본은 상황이 급변함을 직감하고

명성황후 시해계획을 10월 8일 새벽으로 결행하였다. 흥선대원군을 앞세운 일본인 자객들은,

서대문을 거쳐 우범선·이두황이 지휘한 조선 훈련대와 합류하여 광화문을 통과하였다.

훈련대 연대장 홍계훈()과 군부대신 안경수가 1개 중대의 시위대 병력으로,

이들의 대궐 침범을 제지하려다 충돌이 일어났다.

흉도()들은 궁내부대신 이경직()과 홍계훈을 살해한 다음,

이어서 왕비의 침실인 옥호루()에 난입하여 왕비를 살해하고,

시체에 석유를 뿌려 불사른 뒤 뒷산에 묻었다. 곧 새로 유길준(서광범(

정병하(김종한·권형진() 등 친일파를 중심으로, 제4차 김홍집내각을 수립하였다.

명성황후시해 현장에는 고종·황태자 및 미국인 교관 다이, 러시아인 기사 사바틴,

그외 많은 조선인이 있어 진상을 낱낱이 목격하여,

사건은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자세히 알려졌다.

이에 구미열강이 강경한 태도로 일본인의 사건 관여사실을 주장하고 나서자,

일본은 이의 처리방안으로서 미우라를 해임, 고무라[]를 판리공사(使)로 임명하였다.

한편 미우라 등 관계자 48명을 히로시마[] 감옥에 구치하고,

형식적으로 관련혐의자에 대한 취조를 하였으며, 결국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전원석방시켰다.

결국 을미사변은 항일의병활동의 원인과 아관파천()의 계기가 되어,

한국은 러시아의 보호국과 같은 지위로 떨어졌고, 일본의 식민지화계획에 차질을 가져왔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