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낫한의 평화로움
틱낫한 지음, 류시화 옮김 / 열림원 / 2002년 8월
구판절판


명상은 세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것도 도피하기 위한 것도 아닌,
세상 속으로 다시 들어갈 준비를 하기 위한 것이다.-9~10쪽

'삶의 기술'이란 다름 아닌 지금 이 순간에 존재하는 것이다.
지금 여기에 살아 숨쉬고 있음을 자각하는 일이다.
그리고 내가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순간은 바로 지금 이 순간임을 깨닫는 것이다.-20쪽

명상은 깨어있는 것이고, 누군가를 도우려고 노력하는 것이다.-30쪽

잠에서 깨어 이해하게 된 사람을 동양에서는 붓다라고 부른다.
불교에는 세 가지 보물이 있다.
진리를 깨달은 이, 그가 깨달은 진리,
그리고 그들이 모여 사는 조화롭고 깨어있는 공동체-34쪽

이해와 사랑은 둘이 아니라 하나다.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든 살아 있는 존재들을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는 수행을 해야한다.
이해할 때 그대는 사랑한다.-35쪽

그대가 행복한가 불행한가는 그대 자신의 자각에 달려 있다.-68쪽

명상을 한다는 것은 매순간 살아 있기 위한 것이다.
매 순간 깨어 있기 위함이다.-70쪽

불교의 가장 중요한 계율은 깨어 있음 안에서 살라는 것이다.-128쪽

화해를 위한 일곱가지 수행

첫번째 수행 : 얼굴을 마주 보고 앉는 것
두번째 수행 : 기억
세번째 수행 : 고집을 버리는 일
네번째 수행 : 짚(사랑과 친절)으로 진흙(다툼)을 덮는 일
다섯번째 수행 : 스스로 고백하는 일
여섯번째 수행 : 합의에 의한 결정
일곱번째 수행 : 그 결정을 받아들이는 일-~쪽

자기 자신과 만나는 것이 곧 명상의 의미다.
그것은 그대 몸 안에서, 그대의 느낌 안에서,
그대의 마음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자각하는 것이다.
-1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