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비주얼 클래식 Visual Classic
다자이 오사무 지음, 하성호 옮김, 홍승희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8월
평점 :
품절


일본 근대소설은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 정도만 직접 읽어봤고 작가와 제목만 익숙한 작품들이

여러 권 있는데 이 책도 전자책으로만 가지고 있어 언제 시간이 되면 읽어봐야지 생각만 하다가 이번에

우연히 일러스트로 무장한 버전의 책을 만나게 되었다. 몽롱한 눈빛의 꽃미남(?)의 묘한 눈길을 받으며

왠지 제목부터 끈적끈적한 얘기가 펼쳐질 것 같았는데 수기 형식으로 되어 있는 글 속에선 좀처럼

만나보기 힘든 캐릭터와 만나볼 수 있었다.

 

인간을 극도로 두려워한 주인공은 어릿광대짓을 하면서 간신히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한다.

보통 아이들이 자기 멋대로 굴어서 통제가 안 되는 게 일반적인 상황인데 주인공은 자존감이 티끌만큼도

없어서 자기 존재는 철저히 감춘 채 일부러 바보같은 짓을 해서 사람들을 웃기며 겨우겨우 하루하루를

버텨나간다. 인간에 대한 공포와 자신감 부족이 결국 주인공을 남의 비위만 맞추며 자신을 숨긴 채

살아가는 사람으로 만들고 마는데 겉으로는 장난꾸러기지만 속은 썩어 문들어지는 주인공의 모습이

애처롭기 짝이 없었다. 누가 그렇게 시킨 것도 아니고 환경이나 다른 사람을 탓하기도 좀 그렇고

타고난 성품이라고 할 수밖에 없었는데 어릿광대짓을 하며 타인의 눈을 속일 정도로 인간을 두려워

한다는 게 잘 납득이 되진 않았다. 한 마디로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중증 환자로 볼 수밖에 없었는데

이런 주인공의 고독한 냄새가 많은 여성들의 본능적인 후각을 자극하여 본의 아니게 많은 염문을 뿌리게

된 점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었다. 그렇다고 평범한 여자들과 엮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연상의

유부녀나 술집 여자 등과 부적절한 관계를 이어가다가 결국 동반자살까지 시도하는 지경에 이른다.

불행 중 다행으로 혼자만 살아남은 주인공은 이후의 삶에 있어서도 자신이 주체적으로 살아가기보단

누군가에게 의존하며 본심과는 다른 말과 행동을 하는 삶을 지속하는데 이런 주인공의 삶이

인간으로서 실격이라는 취지인지 작가인 다자이 오사무의 정확한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주인공의

삶은 좀 납득하기가 어려웠다. 사실 인간답게 산다는 게 정말 쉽지 않은 일인데 인간의 자격을

실격당할 정도의 삶이 뭔가하는 궁금증으로 봤던 이 책에서 인간다운 삶을 살지 못한 주인공의 모습이

실격의 기준을 어느 정도의 반증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나름 독특한 캐릭터와 스토리로

혼란에 빠뜨리게 만든 작품이었는데 다시 읽어보면 좀 더 작가가 얘기하고자 한 바를 알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