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독서 - 개인주의자 문유석의 유쾌한 책 읽기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사 문유석씨의 <개인주의자 선언>을 재밌게 읽고 연이어 <쾌락독서>를 읽었습니다. 오랜만에 독서 에세이를 읽었습니다. 공감이 많이 됐습니다. 읽고 싶은 책들도 많아졌습니다. 독서에 '중독' 된 사람을 보면 반갑고 위안이 됩니다. '나만 이런 게 아니구나' 라는 안도감이 듭니다. 특이성이 약간의 보편성을 획득하는 순간입니다.


 <쾌락독서>를 읽으며 문유석씨의 독서 여정을 따라갔습니다. 문유석씨의 문체, 문장은 제 취향입니다. 문유석씨가 하루키의 문체, 문장을 좋아하는 이유와 제가 문유석씨의 문체, 문장을 좋아하는 이유는 같습니다. 힘을 빼고 쓴 글쓰기, 소소하지만 깨알같은 유머, 가끔 번뜻이는 멋진 비유와 은유와 통찰. 역시 책을 많이 읽으셔서 그런가 제가 생각지도 못했던 통찰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책을 읽으면 저도 다시 열심히 읽고 싶어집니다. 잠시 숨 죽이고 있던 독서 열정이 되살아 납니다. 책을 읽으면서 저의 독서이력과 독서 여정도 되짚어 봤습니다. 저도 한 때 정말 독서에 미쳤었습니다. 그때는 잘 몰랐는데 지금 돌이켜보면 '그 땐 정말 지독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티브 잡스는 '모든 것에는 반대급부가 따른다.' 고 말했습니다. 독서에 빠지다보니 많은 책을 읽을 수 있었지만 부작용도 많았습니다. 독서가 최우선이 되다보니 그 외의 것들에 무관심해지고 무책임해졌습니다. 특히 인간관계라던가 사회생활이라던가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제 주위사람들은 전부 제 독서시간을 뺏을 수 있는 잠재적 강도들이었습니다. 그렇다고해서 지금 돌이켜봤을 때 크게 후회는 없습니다. '그 땐 어쩔 수 없었다.' 라고 체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제 안에 거대한 공백이 생겼고 저는 무엇으로든지 그 공백을 메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공백을 메우는 데는 책이 가장 유용했습니다. 물론 보다 균형잡힌 인간이라면 책이외에도 다른 여러가지 것들로 그 공백을 메울 수 있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저로서는 어쩔 수 없었습니다. 


 요즘은 예전처럼 책이 미친듯이 재밌지가 않습니다. 유튜브에 빠져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제 뇌가 사색없이 빠른 쾌락을 얻을 수 있는 자극들에 적응된 탓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쾌락중독은 항상 더 큰 쾌락을 원합니다. 제가 예전에 독서에서 쾌락을 맛볼 때도 독서중독이었던 거 같습니다. 더 재밌는 책, 더 훌륭한 책들을 찾아 헤맸습니다. 감탄하며 읽었고 점점 더 빠져들었습니다. 책을 오랫동안 읽지 못하면 금단증상처럼 불안하고 찝찝했습니다. 요즘은 그런 책중독에서 많이 벗어났습니다. 덕분에 책을 더 안 읽게 되고 대신 유튜브를 보게 됐습니다. 유튜브 중독 헤어나오기가 정말 힘드네요.


 유튜브의 유혹을 이겨내고 다시 독서에서 쾌락을 얻고 싶습니다. 요즘 다시 책이 재밌어지고 있습니다. 아마 문유석씨의 <쾌락독서>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판사유감>도 재밌다고 하니 어서 읽어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유석 판사의 책 <개인주의자 선언>을 재밌게 읽었습니다. 그의 이야기가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샀나봅니다. 오늘은 그의 책에서 좋았던 구절과 보고싶은 영화와 책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문유석씨의 또 다른 책 <판사유감>도 읽어보고 싶습니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풀 메탈 자켓>입니다. 감독과 영화의 명성은 이미 충분히 들어서 알고 있습니다. 보고싶은 영화에 등록해놔야겠습니다. 


 















 

 무라카미 류의 <69>입니다. 저는 무라카미 류의 책은 아직 한 번도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저자 문유석씨는 사춘기 시절에 이 소설과 이 소설이 함유하고 있는 시대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합니다.  



 아래는 저자 문유석씨가 말에 대해 주의하고 반성하기 위해 전문가의 강의에서 배운 내용입니다. 가슴에 새기고 명심해야할 가르침입니다. 


 데이의 '세 황금문' 이 있다. 누구나 말하기 전에 세 문을 거쳐야 한다. '그것이 참말인가?' '그것이 필요한 말인가?' '그것이 친절한 말인가?' -p136




 인간의 본성을 진화심리학으로 탐구하는 스티븐 핑커,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를 토대로 행동경제학을 발전시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대니얼 카너먼,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의 도덕감정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조너선 하이트, 프레임이라는 인간 심리의 작동 기제를 토대로 미국 현실 정치에서 민주당이 패하고 있는 이유를 분석하여 오바마 당선을 도운 조지 레이코프, 역시 인간 심리의 작동 기제에 관한 과학을 토대로 저항감 없이 인간 행동을 바꾸는 '넛지' 방식의 자유주의적 개입주의를 주창하고 실제로 오바마 행정부에서 규제개혁 책임자로 자기 이론을 현실에 반영한 캐스 선스타인. 이들의 책은 인간과 사회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이들이라면 당연히 읽어야 할 필독서가 되었고, 마케팅, 정치, 사회사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미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p157~158 


 현대 심리학이 밝힌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를 토대로 실제로 세상을 더 낫게 바꾸는 사람들의 사례를 모아놓은 책이 있다. 칩 히스, 댄 히스 형제가 쓴 <스위치>다. 이들이 이론적 토대로 삼은 것은 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의 연구 결과들이다 -p158


 위 문장을 읽으니 읽고 싶은 책들이 한가득 생겼습니다. 이미 읽은 책들도 있고 읽다가 만 책도 있고 알고 있지만 못 읽은 책들도 있습니다. 


 















 

 일단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마음>은 저도 강추하고 싶은 책입니다. 그가 쓴 <행복의 가설>도 반드시 읽어보고 싶습니다. <바른 마음>을 읽고 저도 많이 배웠고 인식의 지평이 두배로 확장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은 훌륭한 책입니다.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입니다. 예전부터 읽고 싶은 책인데번역이 안 좋다는 리뷰가 많아서 읽기를 꺼렸던 책입니다. 그런데 최근 리뷰들을 보니 그런 이야기들이 없습니다. 번역이 조금 안좋더라도 미루지 말고 봐야할 책입니다.



 
















 스티븐 핑커의 <빈 서판>은 진화심리학에관한 책입니다.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는 논란이 있지만 역사적 관점에서 봤을 때 현대가 가장 평화로운 시기라고 주장하는 책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사상가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씨가 스티븐 핑커를 무자비하게 까서 왠지 읽기 꺼져지는 작가입니다. 하지만 읽지도 않고 판단하는 것은 좋지않은 거 같습니다. 두 권 다 재밌게 볼 수 있는 책일 거 같습니다.



 
















 이 책 역시 굉장히 유명한 책입니다. 조지 레이코프의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프레임 하면 떠오르는 책입니다. 역시 읽어볼 책입니다.



 
















 캐스 선스타인의 <넛지> 입니다. 읽다가 만 책인데, 읽을 때는 재밌게 읽었습니다. 다시 읽어봐야할 책입니다. 



 















 칩 히스, 댄 히스 형제의 <스위치>도 재밌을 거 같습니다. 현대 심리학이 밝힌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를 토대로 실제로 세상을 더 낫게 바꾸는 사람들의 사례를 모아놓은 책이라니 틀림없이 흥미로울 거 같습니다.



 

 오늘 여러 책과 영화를 소개했습니다. 저도 읽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드는 책들입니다. 항상 이미 사놓은 책부터 읽자고 생각하는데 이런 책들을 보면 충동구매하고 싶어집니다. 그래서 제 서재에는 안 읽은 흥미로운 책들이 쌓여가나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도 모르게 이 책이 떠올랐다. 한 번 읽어볼만한 책.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덕분에 책도 많이 읽고 알라딧 굿즈도 많이 얻었습니다. 서재를 통해 글쓰기도 하게 되었고 좋은 서재친구분들도 많이 만났습니다. 감사합니다 알라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라딘 독서기록은 언제봐도 재밌다. 과학책을 좀 더 많이 봐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